저고도 드론 운항 관리체계 마련한다

정부, 437억 투입 교통체계 및 감시장비 개발

디지털경제입력 :2016/05/09 12:00

무인비행장치 드론이 저고도(약 150m 상공)에서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교통관리체계가 마련되고 저고도 비행체 지상 감시장치가 개발된다. 무인비행장치의 이용이 활성화돼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국토부, 미래부, 경찰청이 힘을 합치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4일 개최된 제11차 다부처공동기술협력특별위원회(이하 다부처특위)에서 오는 2017년 추진할 다부처 공동기획사업 3건을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감시 체계 개념도

다부처공동기획사업은 부처 간 협업과 연구개발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3개 이상의 중앙행정기관이 공동 기획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선정된 공동기획사업 중 하나인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 감시기술 개발 및 실증’ 사업은 5년간 총 437억원이 투입된다. 약 150m 내외 저고도 상공에서 150kg 이하 무인비행장치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항할 수 있도록 교통관리체계 마련 및 불법 비행장치 지상감시장비를 개발하는 것이 이번 사업의 목표다.

주관을 맡은 국토부는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 개발 및 실증시험을 담당하며, 미래부는 저고도 교통관리체계를 위한 보안 및 무인비행장치 핵심기술 개발한다. 경찰청은 이동형 저고도 비행물체 감시장치 개발 및 실증시험에 참여한다.

3개 부처는 "저고도 무인비행장치가 자유롭고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지원함에 따라 공공·상업용 무인비행장치 이용 활성화 및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부처특위는 '국민 위해인자에 대응한 기체분자 식별 분석기술 개발’ 사업도 공동기획사업으로 선정했다. 7년간 489억원원이 투입되며 사업은 경찰청(주관), 미래부, 환경부, 안전처, 산업부가 참여한다. 이 사업은 재난, 범죄, 테러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의 탐지가 가능한 이동형 기체 포집장치 개발 및 통합 운용시스템 구축을 통해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신변종 및 해외유입 감염병 예방을 위한 사전진단 및 제어기술 개발’ 사업도 다부처 공동기획사업으로 선정됐다. 예산과 기간은 조정중이며 사업은 복지부, 미래부, 농식품부가 참여한다. 최근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지카바이러스 등 감염병 관련 국가 차원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감염패턴 예측 및 감염원인 분석부터 사전진단 기술과 치료제, 소독제, 백신 개발까지의 전주기적인 기술을 개발하여 국민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주 목적이다.

관련기사

선정된 사업들은 부처별 예산 반영 절차를 거쳐 2017년 사업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향후에도 국민 생활과 밀접하며 국가현안과 사회이슈에 부합하는 범부처 R&D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이를 다부처 공동기획으로 발전시켜 부처 간 협업 촉진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과 미래 성장동력 창출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