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도서·산악지역 통신품질 개선 나선다

‘스마트 빔포밍’ 적용 장비 개발…해운대 시범 적용

방송/통신입력 :2015/06/24 10:44

SK텔레콤이 유선 네트워크 구축이 어려운 지역의 통신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빔포밍’ 기술을 적용한 장비 개발에 성공했다. 특히 이 기술은 망 구축이 간단해 유선망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재난망으로 활용가능하다.

SK텔레콤은 6월말 부산 해운대에 이 장비를 시범 적용한 후 이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대표 장동현)은 유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힘든 도서·산악지역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세대 통신기술인 ‘스마트 빔포밍(Smart Beamforming)’을 적용시킨 ‘스마트 무선전송’ 장비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스마트 무선전송 장비는 전파 전달 시 중간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속도 저하 문제가 생겼던 기존 장비와 달리, 전파의 전달 경로 중간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전달 경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스마트 빔포밍을 적용해 통신품질 유지가 가능하다.

SK텔레콤은 이 같은 스마트 빔포밍 기능을 적용한 스마트 무선전송 장비를 통해 지형적인 문제로 인해 유선으로 망을 구축하기 어려운 산악이나 도서지역, 해수욕장이나 스키장 등의 통화품질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스마트 빔포밍은 빔 방향의 자동변경을 통해 신호품질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 이외에도 전파를 집중시켜 보낼 수도 있어 대량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탓에 전파자원의 효율적 사용이 필수적인 차세대 네트워크로의 진화를 위한 핵심기술로 평가 받고 있다.

또한, 스마트 무선전송 장비는 무선 송수신기가 고정된 방향에서 각각 1대1 방식으로만 운영되던 기존 무선전송 장비의 한계를 넘어, 인터넷 망과 연결된 무선 송수신기가 빔 방향 전환을 통해 다수의 무선송수신기와 통신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스마트 무선전송 장비는 스마트 빔포밍 외에도 기가 와이파이 기반으로 장비가 만들어져 최대 1.3Gbps의 속도가 가능하며, 설치가 간단해 유선망에 문제가 생긴 재난지역이나 비상상황 발생지역 등 신속히 임시 전송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하는 지역에 활용이 가능하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스마트 무선전송 장비를 6월 말 부산 해운대에 시범 적용하는 한편, 추후 지속적인 성능 개선과 장비 최적화를 통해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스마트 무선전송 장비를 통해 차세대 네트워크로의 진화를 위한 SK텔레콤의 기반 기술력이 더욱 굳건해지게 됐다”며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선전송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속적으로 신기술 개발에 나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