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장관, 샤오미 CEO 만난다, 왜?

국내 IT기업과 협력 모색…정부, 中 동반자 관계 맺기 적극 나서

일반입력 :2014/12/17 12:59    수정: 2014/12/17 14:36

미래창조과학부가 기술강국·혁신기지로 변모하는 중국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 맺기에 적극 나선다. 특히,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최근 중국 스마트폰 1위로 등극한 샤오미와 중국의 대표적인 기술지주회사인 칭화홀딩스 CEO를 만나 이들의 혁신 비결을 듣고 우리 IT기업과의 협력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미래부는 이처럼 중국의 과학기술과 ICT 산업을 분석하고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을 위해 오는 17일부터 사흘간 ‘한‧중 과학기술장관회의’, ‘ICT 중소기업 수출박람회(K-테크 차이나 2014)’, ‘대중국 전략 워크숍’ 등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특히, 최양희 장관은 이번 방문에서 중국이 세계적으로 잘하는 연구개발 성과 기술사업화와 창업 인큐베이팅 등에 대한 양국 간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협의할 계획으로, 기술사업화와 창업 상호지원을 통해 양국시장 진출 확대, 나아가 글로벌 시장 동반진출 등 전략적 동반자 관계 구축에 나선다.중국은 과거 저임금과 가공무역을 앞세우는 나라에서 이제는 풍부한 연구혁신인력과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술사업화, 전략적 인수합병(M&A)을 통해 첨단산업 국가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실제, 중국 정규직 R&D 인력은 324만7천명으로 세계 1위(2012년 기준), SCI급 논문 수 세계 2위, 인용횟수 논문 수 세계 4위, 발명특허 출원·등록건수는 세계 1위와 2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올 하반기 중국이 확보하고 있는 외환보유고는 4조달러를 넘어섰으며, 중국 하이테크산업 수출액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8%로 세계2위다.

중국은 2000년 중반부터 해외기업에 시장을 내주고 기술을 얻는 ‘시장환기술(市場換技術)’ 전략 대신 대대적인 기술투자를 통해 자주적인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자주창신(自主創新)’ 전략을 취하고 있다.

그 결과 일찌감치 섬유·철강·화학·자동차·조선·가전 등 대부분의 전통 제조업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4년 1월 이후 IT수출 세계 1위, 2006년부터 IT무역흑자 1위, 세계 휴대폰의 1/3을 소비하는 나라로 변모했다.

지난해 중국 IT산업 수출액은 8천279억달러로 한국 1천767억달러의 4.7배, IT 무역흑자는 2천610억달러로 한국 897억달러의 2.9배에 달한다.

또, 중국은 지난 20년간 산학연 과학기술혁신단지인 ‘중관촌·장강하이테크파크’를 비롯한 100개 이상의 ‘첨단기술산업개발구(高新區)’를 운용해 2011년까지 총 1천500여개의 창업인큐베이터를 설립·운용하는 등 혁신과 창업의 나라로 탈바꿈 중이다.

최 장관은 18일과 19일 이틀간 북경에서 한중과기장관회의와 K-테크 차이나 2014 행사를 개최하고,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중관촌을 시찰하고, 샤오미와 칭화홀딩스의 CEO와 만나 전략적 협력방안을 모색한다.

18일 오전에는 중국 과학기술부 완강 장관과 한중과기장관회의를 개최, 실질적인 협력 성과 도출을 위해 ‘산학연실용화대형공동연구’와 ‘기술이전/실용화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할 예정이다.

또한, 이날 오후에는 세계 최대 IT 시장이자 우리 한류콘텐츠 주요 수요국으로 부상하는 중국과 대규모 정보통신기술(ICT) 교류행사인 ‘K-테크 차이나 2014’와 ‘방송콘텐츠 쇼 케이스’ 행사를 개최한다.

특히 최양희 장관은 최근 중국 스마트폰 1위로 등극한 샤오미의 CEO 레이쥔을 만나 샤오미 혁신의 비결을 듣고 우리 IT기업과의 협력을 모색한다. 이어, 연간 매출 6조5천억원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기술지주회사인 칭화홀딩스를 방문해 쉬징홍 이사장과 대학 R&D 성과 등 기술사업화 협력방안을 협의한다.

또한, 오후에는 중관촌의 상징인 창업카페에서 현지의 우리 청년 창업가들의 건의와 애로사항을 듣는 등 현지창업 지원책을 모색하고, 현지투자자들에 투자유치, 공동제작, 선 판매 등을 목적으로 제작사, 투자자, 바이어 앞에서 기획‧개발단계의 프로젝트를 공개하고 설명하는 투자설명회를 통해 국내 스타트업들을 격려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어, 20일에는 중국의 번영을 이끄는 경제의 중심지 상해를 방문해 중국 최대 연구개발기지인 장강하이테크파크와 상해 3세대 싱크로트론 방사광원을 시찰하고, 기술사업화와 대형연구시설 구축협력과 공동 이용방안 등을 협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미래부는 20일 상해에서 과학기술과 ICT 전문가 및 현지 기업인 등이 참석하는 ‘대중국 전략워크숍’을 개최, 이를 토대로 중국의 과학기술과 ICT 산업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