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재 청문회]“MBC 정상화 시급..직접 개입은 부적절”

일반입력 :2013/04/10 12:12    수정: 2013/04/10 12:32

전하나 기자

이경재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후보자가 MBC 정상화가 시급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다만 신임 사장 선임 절차나 전임 사장 비리 문제 등에 대해선 언급을 피했다.

이 방통위원장 후보자는 10일 국회 미래창조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신도 동아일보 재직 시절 해직의 아픔을 겪은 적이 있다고 입을 뗀 뒤 “공교롭게도 제가 방통위원장에 내정되면서 MBC 사장이 해임됐고 이후 해직 언론인들이 복귀했다. 외형적으로는 봄이 오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방통위원장이 언론사, 방송사 일에 직접 개입할 수 없다”는 전제를 밝히며 구체적인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방법론에 대해 직접 답변을 하지 않았다. 그는 “좋은 분이 사장이 되어서 원만한 해결이 필요하다”면서도 “해법 문제는 제가 얘기하기 어렵다”며 말했다.

MBC 사장 자격에 대해서도 원론적인 입장만 되풀이했다. 그는 “KBS 사장 선임 당시에도 가급적 내부 전문가가 되면 좋겠다고 말했었다”며 “경영능력이 있고 공정성과 중립적 입장을 유지하는 분이 사장이 돼야 한다는 것이 소신”이라고 했다.

노웅래 의원(민주통합당)이 “여야 동수로 이사회를 구성하고 3분의 2 찬성으로 사장 선임을 하자는 법이 발의됐는데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자 이 후보자는 “이 자리서 가부간에 답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고 답변했다. 이어 “국회서 원칙을 정해주시면 소관 부처는 이를 따를 뿐”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김재철 MBC 전 사장의 비리 의혹에 대해서는 “사법당국의 처리를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또 국민들이 정수장학회 사회환원을 요구하고 있는 것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의에는 “국민(이라는 말)은 관념적일 수 있다”며 “방통위원장이 언급할 부분이 아니라고 본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 남경필 의원(새누리당)은 “정부가 바뀔 때마다 방송사 파업이 반복되고 특히 지난 MB정부에서 언론자유지수가 크게 하락했다는 평가를 받았다”며 “정부가 언론사 분쟁 직접 개입하는 것은 옳지 않지만 방통위원장 후보자가 언론자유에 대한 해법만큼은 적극적으로 모색해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