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로보틱스는 자체 기술로 독자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주행 기술이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주관하는 '2025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서울로보틱스는 유럽과 일본에 AI 기반 자율주행 기술을 수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K-자율주행 기술력을 입증한 점과 함께 국내 14건, 해외 27건 이상의 특허 출원, 등록을 하여 경쟁력을 높인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세계일류상품 육성사업은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갖춘 상품과 기업에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현재 세계일류상품'과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으로 구분된다.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은 향후 7년 이내 세계 시장을 주도할 잠재력을 인정받은 상품·기업에 부여한다.
서울로보틱스 AI 자율주행 기술 '레벨5 컨트롤 타워'는 공장과 같은 제한된 환경 내에서 운전자나 안전요원 개입 없이 완전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인프라 기반 AI 솔루션이다. 기존에는 숙련된 운전사가 차량에 탑승해 운전하던 이송 과정을 무인 자동화한다.
서울로보틱스는 이미 5년 전부터 이 기술을 상용화해 운영해왔다. 올초 테슬라가 유사한 기업간 거래(B2B) 솔루션을 발표하며 주목받기 이전에 성과를 이뤄냈다.
레벨5 컨트롤 타워는 기존 규칙 기반 시스템 한계를 AI 딥러닝으로 극복했다. 8년간 축적한 산업 현장 예외상황 데이터를 학습한 AI는 폭설·폭우 같은 혹독한 기상 조건에서도 정확한 객체 인식을 구현하며, 수십 대의 차량을 효율적으로 통합 제어한다.
이 기술을 앞세워 닛산 그룹 공장 물류 자동화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숙련 운전사 5명이 1시간 걸리던 50대 차량 이동을 1명이 6~7분 만에 완료해 물류 비용을 50% 절감한다.
일본 토요타그룹의 1조원 규모 전략투자 자회사 '우븐캐피탈'과도 전략적 파트너십 및 투자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일본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룹 자율주행 기술 자회사인 '우븐플래닛'과 기술적 연계 및 협력 가능성을 검토했다.
또한, 국내에서 서울로보틱스는 울산복합도시개발과 KTX 울산역 일대 '뉴온시티' 자율주행 도시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도시 설계 단계부터 자율주행 인프라를 결합하는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 서울로보틱스, 디지털 이노베이션 어워드서 과기부 장관상2025.11.18
- 서울로보틱스, 日 토요타 우븐캐피탈과 파트너십 논의2025.11.12
- 서울로보틱스, 한화와 자율주행 도시 건설한다2025.10.31
- 서울로보틱스, 日 닛산그룹 공장 자율주행 프로젝트 수주2025.09.29
김두곤 서울로보틱스 이사는 "글로벌 B2B 자율주행을 선도하고 유럽 및 일본 등에서 꾸준히 외화를 벌어오는 점을 인정받았다"라며 "당사 AI 기반 자율주행 기술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세계일류상품이 될 수 있도록 더욱 정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로보틱스는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장기적인 R&D 투자와 우수 인재 영입에 사용하고, 다양한 자율 로봇 시스템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차세대 기술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