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사용이 차츰 줄어들면서 은행이 아닌 자동화기기(ATM)업체나 현금 수송 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AI) 접목 등으로 비용 절감에 나설 계획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13일 화폐 유통 시스템 유관기관 협의회를 열었다. 이 협의회는 현금과 관련된 공급·유통·운송·보관 등의 활동은 물론이고 인프라와 참가기관, 제도 등을 아울러 관리한다. 회의는 1년에 두 번 상·하반기에 나눠서 열린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상반기와 동일하게 현금 이용 감소로 현금 수송 업체와 비금융 ATM 운영업체의 위축에 대한 대응 방안들이 논의됐다. 올해 3월 한은 금융결제국이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3천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지급 수단 중 현금 이용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다. 2013년 41.3%였던 비중은 2021년 21.6%, 2024년 15.9%로 급감했다.
여기에 은행이 아닌 나이스인프라·효성티앤에스·한네트 등 비금융 ATM 운영업체는 내년 1월 적용되는 '장애인 차별 금지법'으로 인해 어려움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장애인 차별 금지법에 따라 ATM의 장애인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ATM 기기 변경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협의회에서는 ATM 수를 줄이기보다는 정부 등 관련 기관과의 조율을 통해 절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나이스씨엠에스·한국금융안전 등 현금 수송업체에서는 AI 도입으로 인한 인건비를 절감한다는 복안이다. AI를 도입해 필요 현금을 추정해 현금 수송 횟수를 조정하는 등 현금 수송 경로를 최적화해 경영 효율화에 나선다는 것이다. 앞서 수송업체들은 현금 취급 사업을 지속하기 위해선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한 바있다.
관련기사
- 케이뱅크, 두부·서적 소매업 사장님 대상 보증서 대출 공급2025.11.19
- [미장브리핑] AI 투자 거품론에 증시 하락 마감2025.11.19
- 차기 신한금융 회장 압축 후보군 4명 발표…내부 3명·외부 1명2025.11.18
- 차기 우리금융 회장, 한 달 내 숏리스트 공개2025.11.18
특히 인구 구조 변화와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화폐 유통 생태계는 더욱 변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나라 인구가 수도권에 집중될 경우 비수도권의 은행 점포와 ATM 등 현금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한편, 한은은 발권당국으로서 현금 사용 감소세에 따른 부작용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난 2월 발권국 내에 화폐유통팀을 신설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