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C 2025] 두나무, ‘기와 프로젝트’ 메인넷과 월렛으로 웹3 대중화 선언

송원준 크립토 프로덕트 리드 "확장성·신뢰성·유동성·편의성, 네 기둥으로 글로벌 인프라 구축”

디지털경제입력 :2025/09/09 13:53

두나무가 자체 웹3 인프라 프로젝트인 ‘기와’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를 통해 “확장성, 신뢰성, 유동성, 편의성”이라는 네 가지 가치를 기반으로 웹3의 대중화를 이끌겠다는 목표다.

9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25’에서 송원준 두나무 크립토 프로덕트 리드는 “기와는 한국에서 시작해 글로벌로 제시하는 웹3의 새로운 기준”이라며 프로젝트 전반을 소개했다.

송 리드는 먼저 두나무의 블록체인 생태계 기여 여정을 설명했다. 

그는 “업비트 스테이킹은 총 3조8천억원 규모로 성장했고, 이더리움 50만 개 이상을 포함해 각 네트워크에서 상위권을 기록했다”며 “2025년 8월부터는 기관 전용 커스터디 서비스를 시작해 전용 콜드월렛을 구축하고 기관의 웹3 온보딩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나무 송원준 리드

또한 그는 레이어2 프라이빗 네트워크 실험, 이메일 기반 UDC 월렛, 블록체인 추첨 기술 등을 사례로 들어 “블록체인이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경험을 꾸준히 연구해왔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기와는 이렇게 블록체인 분야에 꾸준히 영향력을 확장해 온 두나무가 선보이는 또 다른 프로젝트다.

리드의 설명에 따르면 기와 체인은 옵티미스틱 롤업 기반 레이어2 구조로 짧은 블록타임과 저렴한 수수료를 제공하는 메인넷으로 이를 활용하면 누구나 곧바로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금융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온체인 베리파이’를 통해 기관 서비스의 웹3 온보딩을 지원한다. 업비트가 보유한 자산·시세 데이터를 오라클로 제공해 금융 생태계에 활용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업비트가 보유한 1천200만 회원, 80조원 규모 수탁 자산, 3조8천억원 규모 스테이킹 자산을 기반으로 강력한 생태계 유동성을 확보하고 웹3 경험을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 강점이다.

이어 소개된 기와 월렛은 셀프 커스터디얼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키 관리 부담을 최소화한 서비스다. 송 리드는 “MPC 기반으로 이메일 로그인과 드라이브 계정 백업을 지원해 안전성과 편리성을 동시에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두나무 송원준 크립트 프로덕트 리드가 기와 메인넷과 월렛을 소개했다.

또한 기와 월렛은 ▲간단한 아이디 기반 송금이 가능한 기와 아이디 ▲신뢰를 증명할 수 있는 온체인 베리파이 ▲거래소 자산과 온체인 자산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통합 포트폴리오 뷰 기능을 제공한다. 

송 리드는 “사람들이 자산을 네트워크 단위가 아닌 보유 자산 단위로 인식하는 방식을 반영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발표 말미에 송원준 리드는 “기와 프로젝트는 이제 막 시작일 뿐”이라며 “테스트넷을 오픈해 누구나 한국어·영어 개발 문서를 기반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기와는 한국에서 출발해 글로벌로 확장할 웹3 인프라”라며 “가장 신뢰받는 거래소 업비트와 함께 웹3 대중화를 이끌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