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다 죽으란 소리냐"…연금개혁 반대 시위로 올스톱된 佛

프랑스 국민 3분의 1, 개혁안 반대…대규모 집회에 교통 마비

생활입력 :2023/01/20 13:17

온라인이슈팀

프랑스 전역에서 연금 개혁안을 반대하는 시위가 열린 가운데 시위 참여자가 200만명을 넘어섰다고 노조 측이 발표했다.

BFM방송과 AFP통신에 따르면 노동총동맹(CGT)는 19일(현지시간) 프랑스 전역에서 연금 개혁에 반대하는 시위에 200만명이 집결했다며 파리에서만 40만명이 참가했다고 밝혔다. 프랑스 당국의 공식 집계는 전국적으로 112만명, 파리에서 8만명이다.

19일(현지시간) 프랑스 정부가 연금 전액을 수급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되는 최소 연령(퇴직 연령)을 현행 62세에서 2030년까지 64세로 인상하는 개혁안을 지난 10일 발표한 가운데 프랑스 파리에서 연금 개혁안을 반대하는 시위가 열렸다.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윤영 기자

이날 파리에서는 일부 시위대가 경찰을 향해 연막탄 등을 던졌고, 경찰 측은 이들을 해산시키기 위해 최루탄으로 대응했다. 파리에서 체포된 시위대는 30여명으로 집계되며 이들은 대부분 불법 무기 소지, 모욕 및 반란 등 혐의로 구금된 것으로 알려졌다.

43세 하미두는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마크롱은 우리가 일하다가 죽기를 원한다. 우리는 이미 매일 일찍 일어나 일하고 있다. 일부는 새벽 3시에 일어나 일터로 향하는데, 64세까지 일하라는 것은 무리"라며 개혁안을 반대했다.

15세 찰리 페린도 "정부가 지정한 은퇴 연령이 될 때면 우리는 걷지도 못하는 상태가 될 것"이라며 개혁안 반대 의견을 냈다.

브르타뉴 북서부 지역에서 목수로 일하는 로랑 퀴레(42)은 "어떤 클라이언트(고객)가 작업 현장에서 64세를 고용하겠는가"라며 정부의 개혁 반대 입장을 피력했다.

AFP통신은 "프랑스 국민의 약 3분의 2가 은퇴 연령을 높이는 것에 반대하는 것으로 여론조사 결과 나타났다"면서 "이날 전국적인 파업으로 파리 대중교통이 마비됐고, 지하철 노선은 폐쇄, 운행 중인 일부 노선의 경우 평소 대비 운행률이 극히 낮았다"고 설명했다.

1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연금 개혁안을 반대하는 시위가 열린 가운데 노동총동맹(CGT)은 40만명이 참가했다고 발표했다. © AFP=뉴스1 © News1 정윤영 기자

앞서 프랑스 정부가 연금 전액을 수급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되는 최소 연령(퇴직 연령)을 현행 62세에서 2030년까지 64세로 인상하는 개혁안을 지난 10일 발표하자, 주요 노조 8개 단체는 19일 도심 곳곳에서 파업을 개최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당시 프랑스 정부는 오는 9월부터 정년을 매년 3개월씩 연장하겠다는 구상을 발표했는데, 개혁안을 살펴보면 정부는 2027년까지 정년을 63세, 2030년에는 64세로 인상하겠다는 방침이다.

프랑스에서 연금 제도 개혁은 찬반 여론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문제다. 2017년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연금 제도를 손보겠다고 공약했고 연금 제도를 개혁하는 것은 그의 숙원이 돼버렸다. 그러나 이번 개혁안은 프랑스 노동조합과 야권의 강력한 저항을 촉발시키는 등 마크롱 대통령에게 시험대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편,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연금 개혁을 반대하는 이날 이번 시위가 폭력적으로 비화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호소했다.

그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프랑스-스페인 정상회담 이후 기자회견에서 연금 개혁안은 "공정하고 책임감이 있는 변화다. 개혁안은 민주적으로 제안됐으며 책임감 있는 방식으로 실행되도록 추진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어 "시위 주최측은 합법적으로 반대를 표했으나 시민들이 불편함 없도록 이번 시위가 지나친 폭력, 파괴 없이 진행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제공=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