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화학산업 발전방안 마련…'화학산업포럼' 공식 출범

석유화학·플라스틱·정밀화학·공급망·인프라 등 5개 분과로 3개월간 운영

디지털경제입력 :2022/03/15 18:00

산업통상자원부는 2022년 화학산업 발전방안 마련을 위해 산·학·연·관 100여명이 참여하는 '화학산업 포럼'을 출범했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화학산업은 ▲범용제품의 공급과잉 우려 ▲탄소중립 시나리오 이행 부담 ▲원료 수급환경 악화 ▲플라스틱 사용규제 강화 등으로 관련 기업들의 기존 영위 사업이 전방위적인 위기에 노출돼 있어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높은 상황이다.

정부는 ▲석유화학 ▲플라스틱 ▲정밀화학 ▲공급망 ▲인프라 등 5개 분과로 구성해 3개월 간 포럼을 운영할 예정이다.

석유화학분과는 이산화탄소(CO2) 감축을 위한 원료·연료를 대체하고 공정전환 등을 논의한다. 플라스틱분과는 어려움을 겪고있는 플라스틱 업체들의 고부가가치화, 자동화 도입 지원, 생분해성 플라스틱 활성화 등의 지원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소순종 산업기술평가관리원 본부장, 김진균 고등기술연구원장, 송유종 석유화학협회 부회장, 안효철 정밀화학산업진흥회장, 이광옥 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장, 정철수 플라스틱산업협동조합 이사장이 화학산업 포럼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정밀화학분과는 아직도 선진국에 의존적인 반도체·디스플레이·미래차·에너지 등의 전방산업의 미래 핵심소재 지원방안을 찾고 공급망·인프라분과는 공급망의 안정화방안과 기업투자에 애로가 있는 규제개선 과제 등을 찾아 지원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화학산업 포럼을 운영함으로 각 분과에서 제안한 문제와 과제를 취합해 정책 지원방안을 마련해 올해 상반기에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최근 탄소중립 이행과 공급망 안정화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화학산업 포럼으로 산업생태계 변화에 따른 '대한민국 화학산업'의 경쟁력을 한층 올릴 수 있는 기회로 활용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주 실장은 이어 "각 전문가들도 다양한 아이디어와 치열한 논의를 통해 각 기업들이 기존 사업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좋은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모든 포럼 위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