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중앙회장 후보 이해선 "업계 이해도·금융당국 소통 자신있어"

저축은행 구조조정 담당 도맡아..."다양한 규제에 대해 업계 대변할 것"

금융입력 :2022/01/24 13:29

저축은행중앙회 회장 선거가 뜨겁다. 이는 저축은행업계의 어려움을 강력하게 대변해 줄  인물을 찾는 업계의 염원이기도 하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로 인해 지역 상권이 침체를 겪으며 지방 저축은행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잠시 풀린 예금 대출 비율 규제(예대율 규제)로 한시름 놨지만 올해 4월 이마저도 정상화된다. 저축은행중앙회장에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이해선 전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과 오화경 하나저축은행 대표의 출마의 변을 들어본다. [편집자주]

지난 20일 박재식 저축은행중앙회장 임기가 만료됐다. 현재 저축은행중앙회장 출마 의사를 밝힌 이는 이해선 전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과 오화경 하나저축은행 대표다.

이해선 후보는 1960년생으로 ▲금융감독원 기업재무구조개선단 국장 ▲금융위원회 중소서민금융정책관 ▲금융정보분석원 원장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특히 2012년 금융위 중소서민금융정책관으로 당시 2년 여 동안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진두지휘한 이력이 있다.

이해선 후보는 최근 지디넷코리아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통해 업계를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으며, 금융감독당국과의 원활한 소통으로 업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저축은행중앙회장 선거에 출사표를 낸 이해선 전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사진=뉴스1)

다음은 이해선 저축은행중앙회장 후보 일문일답 요지.

Q. 오화경 후보와 경쟁하는 양상이다.

"금융위원원회에서 오래 일하긴 했다. 그렇지만 업계를 전혀 이해 못하는 것이 아니다. 저축은행과 관련한 정책을 마련하는 일을 오래 해왔고 2012~2014년 상반기까지 2년 4개월 여를 저축은행 구조조정하는데 힘을 쏟았다. 구조조정 후 매각까지 보고선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을 거쳤다.

지금 저축은행 구도가 외국계·대부업·금융지주·증권사·지방 저축은행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런 안정적인 구조를 구조조정 이후 만들었으며 이를 통해 업계가 한 단계 발전했다고 평가한다."

Q. 그런 구조 속에서 지금 지방계 저축은행은 어려움을 호소한다.

"지역 경기가 침체되고 기존 고객인 소상공인들을 다른 권역에 빼앗기는 등 지역 저축은행들이 상당히 어렵다.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선 기존 저축은행의 프레임을 회복해야한다. 그렇지만 단기적으로 해결안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예대율이나 지역 의무 여신 비율과 같은 규제를 바꿔 숨통을 트이게 하고 수익률을 높이는 방안이 있다.

(저축은행의 경우 거점 지역 내에서만 영업할 수 있으며 거점 지역에서 40~50%의 대출을 달성해야 한다. 이는 예대율 규제와도 맞물려 있어 이 비율을 맞추지 못하면 그만큼 예금도 팔기 어렵다.)

영업 구역 문제나 지역 의무 여신 비율을 어떻게 딱 바꾼다고 단정짓긴 어렵다. 연구를 통해 컨센서스를 이뤄야 하는 부분이다. 그렇지만 저축은행의 비대면 대출이나 중금리 대출, 정책금융상품 취급 시 의무 대출 비율을 줄여주거나 예외를 두는 여지가 있다고 본다."

Q. 저축은행 영업 구역 제한이 사실 해묵은 규제처럼 느껴지는게 저축은행도 디지털화를 피해갈 수 없기 때문일텐데. 디지털화는 어떻게 보나.

"디지털화를 어떻게 할지 아직 업계 의견 조율이 이뤄져 있지 않다. 대형 저축은행 중 소비자 금융을 취급하는 곳은 앞서 나가지만 소비자 금융을 안하는 지역 저축은행도 있어서다. 이외에도 디지털 전환은 투자 비용이 많이 든다. 공감대를 형성해 수요 조사를 제일 먼저 시작하고, 비용의 부담을 어떻게 나눌 것인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대화하고자 한다."

관련기사

Q. 저축은행중앙회가 어떻게 가야된다고 생각하나.

"가장 큰 역할은 당국과의 의사소통이라고 본다. 그 부분에 대해서 업계의 목소리를 계속적으로 중앙회가 내줘야 한다. 추가적으로는 지원 기능이라고 생각한다. 중소 저축은행의 무수익 자본을 운용하는 방법, 디지털화 등 중앙회가 서포트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무게를 두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