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여개 국가 2030년까지 메탄 30% 감축 선언

[이슈진단+] COP26 개막 나흘째…현재까지 성과와 전망은?

디지털경제입력 :2021/11/04 20:14    수정: 2021/11/04 21:25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탄소배출에 대한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개막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나흘째를 맞았다. 참석 국가들은 자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탄소중립 방안을 치열하게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COP26은 큰 의미를 갖는다. 총회 기간 전 세계가 각국 배출량을 얼마나 줄일 것인지 국제사회에 알려야 하는 첫 COP이기 때문이다. 이번 당사국총회에서는 감축, 적응, 재원, 기술이전 등의 분야에서 총 90여개 의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 가운데 국제탄소시장에 대한 합의를 도출해 지난 2015년 파리협정 6조 세부이행규칙(Paris Rulebook)을 완성하는 것이 최대 관건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 SEC에서 열린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이번 당사국 총회에서 도출되는 파리협정의 이행에 관한 합의가 초미의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세계 탄소배출 국가 가운데 가장 많은 탄소를 배출하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가 빠진 상태로 시작된 COP26이 국제사회가 바라는 합의치를 도출하지 못할 거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적지 않다.

■2030년까지 메탄 30% 감축 선언...늦어지지만 '넷제로' 시점 나오는 모양새

COP26 의장국인 영국 정부는 “2030년까지 전 세계에서 배출되는 메탄의 양을 2020년 대비 최소 30% 줄이는 ‘국제 메탄서약’이 이뤄졌다”고 지난 1일 발표했다. 메탄은 천연가스의 주성분으로 가축 배설물 등 축산업 유기물, 하수구의 쓰레기 등이 분해될 때 발생한다.

이번 '국제 메탄서약'은 미국과 유럽연합(EU)를 중심으로 105개 국가가 동참하기로 합의했다. 일각에서는 세계 메탄발생률 30%(연간 약 28억톤)를 차지하는 중국과 러시아·인도가 불참해 합의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단순히 일부 '브릭스(BRICS)' 국가가 빠졌다고 해서 비관적으로 바라볼 만한 사안은 아니라는 데 입을 모았다.

1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6)에서 각국을 대표해 참석한 관계자들이 발표를 듣고 있다.

김지석 그린피스 기후에너지전문위원은 "중국·러시아·인도 3개국이 빠진 서약이라고 해서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만은 없다"면서 "이들 국가는 사실 대표적인 신흥개발국인데 경제 체질상 보유한 가스전에서 나오는 메탄을 줄인다는 게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기후업계 한 관계자 역시 "온실가스 주범인 메탄에 대해 기존엔 전혀 진전되지 못한 사안을 이번 총회에서 합의를 이끌어냈다"며 "물론 만족할 만한 사안은 아니지만 분명 고무적인 일이라고"진단했다.

이번 총회에서는 배출하는 탄소량과 제거되는 탄소량을 합쳐 '0'이되는 넷제로 달성 시점도 각 국가마다 발표하고 있다. 미국과 EU는 넷제로 시점을 2050년을 목표로 잡았다. 그러나 탄소배출 1,2위를 기록하고 있는 중국·러시아는 각각 2060년과 207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인도의 넷제로 달성 목표 시점은 2070년이다.

다만 이들 국가는 태양광 설비나 친환경 인프라 제반 여건이 부족한 상황이다보니 선진국의 인프라 지원이 이뤄지면 넷제로 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뿐만 아니라 COP26에서는 100여개국이 ‘산림·토지 이용 선언’에도 합의를 도출했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지구 온난화를 늦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삼림을 보호하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삼림 벌채를 끝내겠다는 게 골자다. 

선언 참가국에는 세계 산림의 85%를 차지하는 브라질과 인도네시아·콩고민주공화국 등이 동참하기로 했다. 한국을 비롯 미국·중국·러시아·일본 등 주요 국가가 이번 서약에 동의했다.

■COP26 참석한 한국 상황은? 한정애 환경장관, “한국 온실가스 목표 상향에 COP26서 긍정적 평가”

COP26에 참석한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대해서 국제 사회가 긍정적 평가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3일(현지시간) 글래스고 현지에서 이뤄진 기자간담회에서 국제사회가 한국의 결정에 지지를 보낸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0월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안을 2018년 대비 40%로, 기존안(26.3%)보다 대폭 상향 조정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COP26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의지를 강하게 천명했다.

한 장관은 “2030년 NDC를 40%로 잡았지만 위기를 인식하고 있음을 알리고 행동 의지를 표명하는 의미에서 대통령이 ‘40% 이상’이라고 선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 장관은 "온실가스가 많이 배출됨으로 인해 지구상에 일어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물 관련된 문제"라면서 "물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한국이 굉장히 많은 역할을 해 감사하다는 표현을 많이 받았다"고 전했다.

3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26차 유엔기후협약당사국 총회서 국내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있는 한정애 환경부 장관

한 장관은 '유럽 쪽에서 우리의 NDC 상향이 생각보다 낮다는 평가를 하지는 않았나'라는 질문에 "(더 높게) 해 주길 바라는 것은 있었을 수도 있다"면서도 "그러나 한국이 처한 상황을 (유럽도) 알고 있다 유럽처럼 스마트그리드 등이 조성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의) 의지와 도전, 노력은 높이 평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또 COP26 개최와 관련 "각국 정부대표단들도 협상을 시작해 파리협정 제6조에 따른 국제탄소시장 지침 채택 등 90여개 의제에 대한 치열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인도·인도네시아·브루나이·호주 등과도 양자회담을 가질 예정이고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와의 양해각서(MOU) 교환을 통해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 사업 관련 협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밖에 핵심 쟁점이 되는 국제탄소시장에 대해서도 총회가 끝나는 내주 정도엔 의미있는 합의가 나올 전망이다.

이병태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교토메커니즘 따라서 발급된 감축실적의 사용 여부, 국가간 온실가스 감축 이전실적에 대한 상응조정에 대해서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이런 쟁점들은 다음주에 막판에 가서 타결될 가능성을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