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해광업공단 출범 초읽기…황규연 초대 사장 내정

15일 신설 공단 출범식…영문명 KOMIR 확정

디지털경제입력 :2021/09/02 16:43    수정: 2021/09/02 17:09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제7차 광해광업공단 설립위원회’를 개최하고 그간 공단설립위에서 의결한 주요 사항을 황규연 한국광해광업공단 사장 내정자에게 인계했다.

공단설립위는 지난 4월 첫 회의를 시작으로 6개월 동안 총 11차례 공단설립위(사전설명회 포함)와 8차례 임원추천위원회 개최를 통해 신설공단 설립에 관한 사무 등을 심의·의결했다.

‘제7차 광해광업공단 설립위원회’가 2일 서울 종로 석탄회관에서 열렸다.

광해광업공단 설립일은 9월 10일이지만, 출범식은 정관인가, 설립등기 및 조직 배치, 시스템 구축 등 준비기간을 거쳐 15일 개최한다.

광해광업공단은 ▲광해방지 및 복구 ▲석탄산업지원 ▲저소득층 연탄보조 ▲폐광지역 대체산업 융자 ▲광물자원 민간개발지원 ▲광물자원 개발자금 융자 및 광물의 비축·매매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조직은 유사·중복기능은 통합하고 조직 안정화를 주요 내용으로 사업조직을 개편했다.

박진규 한국광해광업공단 설립위원장(산업통상자원부 차관·맨 오른쪽)과 김명준 전남대 교수(맨 왼쪽)가 황규연 한국광해광업공단 사장 내정자에게 공단설립위원회 사무를 인계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기존 6본부·1원·1단·1소·37처실·5지사·3센터·3사무소(57개) 체제에서 4본부·1원·1단·29처실·5지사·3센터·3소(46개) 체제로 바뀐다. 과거 광해관리공단과 광물자원공사 조직에 비해 20% 효율화했다.

광물자원공사의 국내본부와 해외본부 2본부를 광물자원본부 1본부로 통합하는 한편, 광해본부와 지역본부 역할은 확대했다. 해외사업관리단을 별도로 설치해 안정적으로 해외자산매각을 추진하도록 설계했다.

기관 영문명은 KOMIR(Korea Mine Rehabilitation and Mineral Resources Corporation)로 확정했다.

이사회는 11명(사장, 상임감사위원, 상임이사 3명, 비상임이사 6명)으로 구성되며 임원추천위원회에서 추천한 인물에 대한 인사검증 등을 통해 법 시행일인 10일에 맞춰 사장, 상임감사위원, 비상임이사를 임명할 예정이다. 상임이사 3명은 신설공단 사장 임명 후 선임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광물자원공사 사옥에 해외사업관리단을 제외한 신설공단 전체 인원이 배치된다. 광해관리공단 사옥은 해외관리사업단을 배치하고 잔여 공간은 임대 등 수익사업에 활용해 재무건전성 높인다는 방침이다.

박진규 한국광해광업공단 설립위원장(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제7차 공단 설립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박진규 공단설립위원장(산업통상자원 차관)은 “비록 6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에도 두 기관의 협력과 공단설립위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법 시행일에 맞춰 신설공단이 출범하게 됐다”며 “남은 기간 신설공단 사장 내정자를 중심으로 원활한 마무리를 통해 신설공단이 국내 광해·광물자원산업 혁신 계기를 마련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핵심광물 공급망 안보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