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는 29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반도체 및 이차전지 분야 7개 기업과 함께 '소재·부품·장비 우수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일본 수출규제 이후 추진된 소부장 연구개발(R&D) 지원정책을 점검하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공급망 조사 행정명령 등의 최근 공급망 이슈에 대응하기위한 방안 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후성, 동진쎄미켐, 원익IPS, 유진테크, 에코프로비엠, 일진머티리얼즈, 지엘켐 등 반도체 및 이차전지 분야의 소부장 기업 7곳이 참여했다.
이들 기업은 2019년 하반기부터 KEIT에서 지원한 R&D 과제를 수행했고, 앞으로 R&D 과제 수행을 앞두고 있어 소부장 R&D 정책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또 바이든 대통령이 100일간의 공급망 조사를 명령한 4대 품목과 관련성이 높아 미국의 공급망 조사 후 이어질 후속 조치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 기업은 이날 간담회에서 소부장 기업의 애로사항으로 ▲우수 인력 수급의 어려움 ▲수요기업의 미래 기술에 대한 불확실성 ▲R&D 과제에서 외산 장비 수입의 비효율 등을 언급했다.
나아가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대기업 퇴직인력을 소부장 기업으로 유입 유도 및 특성화 대학 확대 ▲수요 대기업의 기술 로드맵 공유 ▲조달청의 장비 구매 프로세스 개선 등을 제안했다.
아울러 바이든 행정부의 공급망 조사 행정명령과 관련해 단기적으로는 중국 제재에 따른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매우 큰 위기가 될 수 있다고 보고 강건한 소부장 산업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도 냈다.
특히, 이차전지는 중국 수입에 의존하는 원자재 비중이 커 향후 안정적인 원자재 수급을 위해 정부에서 조달청, 한국광물자원공사 및 관련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대응하는 방안 등을 제안했다.
정양호 KEIT 원장은 "일본 수출규제부터 최근 바이든 공급망 조사까지 계속해서 공급망 이슈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은 점점 더 심화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모든 제품을 내재화할 수는 없으므로 특정 국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피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세계가 인정하는 기술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소부장 기업, 북유럽 시장 진출 기회 잡아라2021.04.19
- 중기부, 2021년 소부장 스타트업 20곳 선정 착수2021.04.12
- 해외 M&A 통한 소부장 경쟁력 강화 본격화2021.04.01
- ‘소‧부‧장’ 기술자립 쾌거…12인치 반도체 테스트베드 오픈2021.03.16
또한 "소부장은 국내외 정치 상황과 관계없이 계속해서 가꾸고 키워나가야 될 핵심 산업"이라며 "탄소중립 등 당면한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산업이므로 이런 사항을 반영해 포스트 소부장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KEIT는 이날 간담회에서 접수된 소부장 우수 기업들의 의견을 정리해 산업부에 전달하고, 포스트 소부장 정책을 도출하는 데 적극적으로 반영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