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자일링스, 5G 인프라 구축 협력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20/04/16 17:50    수정: 2020/04/17 09:17

삼성전자가 5G 인프라 구축을 위해 자일링스의 적응형 컴퓨팅 가속화 플랫폼을 도입한다.

16일 자일링스는 삼성전자가 5G 인프라 구축을 위해 자사 적응형 컴퓨팅 가속화 플랫폼(ACAP·Adaptive Compute Acceleration Platform)인 '버설(Versal)'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버설은 5G(5세대 이동통신)의 네트워크 용량을 늘리는데 사용되는 정교한 빔포밍 기술을 포함해 복잡한 실시간 신호처리 등과 같은 5G의 핵심 기능을 수행한다.

삼성전자가 5G 인프라 구축을 위해 자일링스의 적응형 컴퓨팅 가속화 플랫폼을 도입하기로 했다. (사진=자일링스)

자일링스의 버설은 빔포밍 알고리즘에 필요한 짧은 지연시간의 실시간 신호처리 성능을 낮은 전력소모로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밀도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타일 구조의 벡터 프로세서로 구성된 버설 인공지능 코어(AI Core) 시리즈를 기반으로, 인프라 구축 이후에도 재프로그램 및 재구성이 가능해 필요한 연산 기능을 구현하는데 적합하다.

전재호 삼성전자 네트워크 사업부 R&D 책임자 겸 수석 부사장은 "삼성은 5G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 새로운 5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자일링스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자일링스의 새로운 첨단 플랫폼을 삼성 솔루션에 도입함으로써 5G 성능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더욱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용어설명 : 빔포밍

빔포밍(Beamforming)이란 안테나에서 전파를 원하는 때 원하는 특정 방향으로 방사·수신하는 지향성을 갖도록 다수의 안테나에 의해 전파빔을 만드는 기술을 말한다. 빔포밍은 초연결·초저지연·초연결의 특성을 요구하는 5G의 핵심기술 중 하나로, 이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해 수십개의 데이터채널을 만들어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매시브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구현하는 데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