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중견기업 육성사업 ‘월드크래스+’ 내년 킥오프

월드클래스 300 후속사업 예타 통과…10년간 4635억원 지원

디지털경제입력 :2019/10/07 15:21

'월드클래스 300 사업'이 '월드클래스+'로 옷을 갈아입고 내년부터 중견기업 지원을 시작한다. 사진은 지난 5월 월드클래스300 기업협회가 용평리조트 드래곤밸리 호텔에서 개최한 CEO 워크숍에서 참석자들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뉴시스)
'월드클래스 300 사업'이 '월드클래스+'로 옷을 갈아입고 내년부터 중견기업 지원을 시작한다. 사진은 지난 5월 월드클래스300 기업협회가 용평리조트 드래곤밸리 호텔에서 개최한 CEO 워크숍에서 참석자들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뉴시스)

2011년부터 2018년까지 313개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해 글로벌 기업으로 이끈 ‘월드클래스 300’ 사업이 내년부터 ‘월드클래스+’ 사업으로 거듭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월드클래스 300의 후속사업인 월드클래스+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2020년부터 2029년까지 10년간 유망 중견기업 150곳을 선정해 국비 4천635억원(총 사업비 9천135억원)을 지원한다고 7일 밝혔다.

월드클래스+는 대기업 의존성이 높지만 기술개발 잠재력을 갖춘 매출 700억원 이상의 중견기업·후보 중견기업의 성장전략을 평가해서 선정, 연구개발(R&D) 지원하는 구조다.

지원대상은 중소·중견기업(월드클래스 300)에서 중견기업으로 조정, 중견기업 중심사업으로 정체성을 강화했다. 이를 통해 정부의 기업지원 R&D사업을 ‘글로벌강소기업(중소기업)’과 월드클래스+(중견·후보중견기업)사업으로 구분해 중복성을 없애고 보다 체계적인 기업성장 사다리 지원체계를 구축했다.

지원분야는 중견기업 적합분야와 중견기업 R&D 수요를 종합해서 도출한 16대 신산업 분야다. 미래차, 바이오헬스, 반도체, 사물인터넷(IoT), 에너지신산업, 드론, ICT융합신산업 등이다.

일본 수출규제 불확실성 극복을 위해 소재·부품·장비 기업 선정 비중을 28%(월드클래스 300)에서 40%로 늘린다.

선정 기준은 수출 비중 50% 미만이고 3년 평균 R&D 집약도가 1% 이상이어야 한다.

선정된 기업에는 R&D와 해외마케팅·금융·컨실팅 등을 연계해 4년간 30억원을 지원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성장잠재력이 있으나 내수시장 위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월드클래스 후보기업을 발굴해 16대 신산업분야 기술개발과 해외마케팅 지원 등을 통해 월드클래스 기업으로 성장하는 구조로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월드클래스 300 사업이 월드클래스 수준의 기업들을 직접 선정, 기술개발을 지원했다면 월드클래스+사업은 기술개발 전략성과 정부의 육성의지를 보다 강화했다.

선행사업에서 호평을 받은 월드챔프 사업 등 비R&D 지원시책도 강화해 여러 정부부처, 유관기관의 지원시책과 상호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면서 지속 발굴·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간사)과 산업은행, KOTRA, 지식재산보호전략원, 중경련 등이 참여하는 월드클래스+ 서포터즈를 구성·운영한다.

조영신 산업부 중견기업쟁책관은 “과거 월드클래스 300 사업이 기술개발, 해외마케팅 등 기업성장 지원정책으로 호평받았으나 지난해 일몰돼 역량있는 중견기업 발굴·지원에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과기부·중기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후속사업을 마련한 만큼 유망한 중견(후보)기업을 제대로 발굴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조 정책관은 ”중견기업이 우수한 기술역량과 사업경험을 바탕으로 소재·부품·장비 분야 상생협력 주체로 다수 포진해 있는 만큼 앞으로 월드클래스+ 사업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육성 등 대내외 불확실성 완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