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환의 EV세상] 전기차 충전기 고장 대응에 손놓은 정부

카카오톡 실시간 안내는 개점휴업

데스크 칼럼입력 :2019/09/29 13:18    수정: 2019/09/29 15:44

전기차 판매대수와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공공 충전기 수가 우리나라에 늘어나고 있다. 공영주차장, 공원, 쇼핑몰, 스포츠 경기장 등 충전기가 설치되는 장소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앞으로 충전 시간을 더 빨리 진행할 수 있는 신형 충전기 설치도 더 늘어날 방침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전기차 충전소 관리가 여전히 부족하다. 충전소가 왜 작동이 안되는지 알 수 없고, 고장중인 충전소가 어떻게 수리가 되고 있는지, 그리고 충전소 복구 예정 시기는 언제인지 알 수 없다.

정부가 구축해놓은 전기차 충전소 검색을 위한 사이트는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자동차환경협회등이 만든 ‘ev.or.kr’이다.

‘ev.or.kr’에서는 전기차 충전소가 고장 날 경우, 한국자동차환경협회로 연락하면 가장 가까운 급속충전소 위치와 원격지원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당장 고장 난 충전소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자체적인 대응방식과 매뉴얼이 없는 상황이다.

고장 난 충전소 장소에서 급하게 충전해야 하는 운전자들은 난감할 수 밖에 없다. 일부 브랜드 전기차 소유주들은 찾아가는 충전서비스로 해결할 수 있지만, 전기차를 처음 접할 수 있는 카셰어링 이용객들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 지 난감할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정상 운영중인 충전기도 전력 상황이나 기타 요인으로 인해 충전기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전기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하루하루 이같은 걱정을 안고 차량을 운영해야 하는 실정이다.

충남 인삼랜드 휴게소 통영방향 전기차 충전기에 부착된 '출입통제' 노란색 테이프 (사진=지디넷코리아)

그래도 희망은 보인다. 바로 대영채비, GS칼텍스 등 충전기 제조업체와 충전소를 운영하는 주체가 충전기 고장 유무 발생 시 곧바로 소비자들에게 알린다는 점이다. 또 전기차 오너들이 모인 단체카톡방을 모니터링해 충전기 고장 발생시, 즉시 해당 장소에 가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이같은 시스템은 오히려 정부보다 더 효율적이다. 하지만 민간업체다 보니, 실시간으로 충전기 수리를 대응할 수 있는 인력확보가 가장 큰 걸림돌이자 숙제다.

정부는 한 때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를 통해 일정 시간동안 고장 충전기와 운영중지 충전기 현황을 보냈지만, 현재 이 시스템은 개점휴업 상태다. 실시간으로 전하는데 자체적으로 한계가 있어 명절이나 분기 별로 거의 한 두 번씩 충전기 고장 상태를 전한다. 이 역시도 정부 운영 시스템의 한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다.

정부의 부실한 시스템은 장거리 운전을 진행하려는 전기차 사용자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에 판매되고 있는 전기차의 경우, 경로를 주행하면서 고장 난 전기차 충전기를 미리 예측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시스템은 없다. 거의 충전소를 클릭해가며, 충전소가 잘 운영되고 있는지만 확인이 가능하다.

그동안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의 전기차 충전소 구축과 예산 투입 계획 등을 살펴보면 전기차 충전기 관리에 얼마만큼 예산을 쓰겠다는 계획이 보이지 않았다. 또 충전기가 예상치 못하게 철거된 경우, 어떤 대안이 있는지도 소개하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앞으로 정부는 소비자들이 스트레스 받지 않고 충전기를 쓸 수 있는 시대를 열어나가야 한다. 한국전력이 이를 위해 950억원을 들여 아파트 등 거주지 충전시설을 늘려나갈 계획을 갖고 있지만, 이 충전기들이 시간이 걸리더라도 제대로 쓸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전기차 충전기 운영을 총괄할 수 있는 부서 또는 팀을 강화하는 일이다. 만약에 인력이 부족하면, 정기적으로 충전기의 안전 및 고장 유무 점검을 대대적으로 진행하고 그 결과를 민간에게 알리는 과정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