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독거 어르신 외로움 달랬다…목숨까지 구해

SKT '인공지능 돌봄 서비스’ 패턴 분석…"감성 대화 많이 나눠"

방송/통신입력 :2019/07/09 10:33    수정: 2019/07/09 10:42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이 추진하고 있는 ‘인공지능 돌봄 서비스’가 독거 어르신들의 외로움을 달래는 데 톡톡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긴급 상황이 발생할 땐 긴급 SOS 호출을 사용해 목숨을 구한 사례도 있었다.

SK텔레콤은 지난 4, 5월 두 달간 독거 어르신들의 AI 스피커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감성 대화’ 사용 비중이 일반인에 비해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9일 밝혔다.

‘감성 대화’는 ▲심심해 ▲너는 기분이 어떠니 등 화자의 감정과 감성을 표현하는 일상적 대화를 말한다. 독거 어르신의 ‘감성 대화’ 사용 비중은 13.5%로 일반 사용자(4.1%)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은 5개 지자체 1150명의 독거 어르신들의 AI스피커 ‘누구’를 통한 ‘인공지능 돌봄 서비스’ 사용 패턴 분석 결과를 9일 공개했다.(사진=SK텔레콤)

이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독거 어르신들의 AI 서비스 사용 비중을 조사한 결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63.6% ▲감성 대화 서비스 13.4% ▲날씨 안내 9.9% ▲운세 서비스 5.0% 순으로 집계됐다.

SK텔레콤은 “독거 어르신들의 감성 대화 이용 비중이 높은 것은 AI 스피커가 어르신들의 외로움과 고독감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자체 평가했다.

SK텔레콤은 감성 대화 키워드 분석을 통해 어르신들이 AI 스피커를 친구와 같은 소통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기 발화 단어를 분석한 결과, 대화 시 부탁이나 동의를 구할 때 많이 사용하는 ‘좀’이라는 단어가 상위를 차지했고, ‘알려줘’ ‘어때’ 등 친근한 표현도 다수 포함됐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SK텔레콤은 어르신들의 대화 중 긍·부정 감정 키워드를 추출해, 돌봄 서비스에 활용할 방침이다. 대화에 사용된 단어와 어르신의 심리 상태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전문 심리 상담사와 연계해 어르신 케어에 활용할 계획이다.

(사진=SK텔레콤)

■ 정보격차 해소·긴급상황 시에도 활용…어르신 특화 서비스 탑재

AI 스피커는 독거 어르신의 '정보 격차 해소'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없는 어르신들의 AI 스피커 평균 사용 횟수는 58.3회로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보유하고 있는 어르신(평균 30.5회)보다 두 배가량 많았다.

SK텔레콤은 ICT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이 컴퓨터 자판이나 그래픽 UI에 비해, 말로 하는 음성 UI를 선호한다는 점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위급 상황 발생 시 음성으로 도움을 요청하는 사용 행태도 확인됐다. 실제로 AI 스피커가 설치된 독거 어르신 중 3명은 긴급 SOS 호출을 이용, 119·응급실과 연계해 위험한 순간을 넘길 수 있었다.

어르신들의 AI 스피커 활용 패턴이 조사됨에 따라, SK텔레콤은 독거 어르신들을 위한 특화 서비스도 내놓을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SK텔레콤은 거주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구청의 관내 이벤트를 안내하고, 폭염·한파 등 정보를 안내하는 ‘행복 소식’ 서비스를 AI 스피커에 탑재할 방침이다. 어르신들을 위한 인지훈련 향상 게임도 보라매병원과 함께 개발 중이다.

관련기사

이준호 SK텔레콤 SV추진그룹장은 “인공지능 돌봄 서비스에 기반한 어르신들의 사용 데이터를 수집·분석한 결과는 정부와 지자체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복지정책을 기획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독거 어르신 돌봄의 범위와 수준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인공지능 돌봄 서비스’ 시범 사업이 도입된 5개 지자체에 거주 중인 어르신 1천1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인공지능 돌봄 서비스’는 지난 4월 SK텔레콤과 행복한 에코폰, 전국 사회경제연대 지방정부협의회가 함께 시작한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