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창규 회장 “ICT로 가축전염병 확산 방지 플랫폼 만들자”

UN 주최 콘퍼런스서 기조연설…“식량 40% 차지 축산물 감염병 보호”

방송/통신입력 :2019/06/13 09:52    수정: 2019/06/13 09:54

KT 황창규 회장이 전 세계가 참여하는 ‘가축전염병 확산방지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최근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아시아 국가로 확산되는 등 국가 간 전염병 차단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른 제안이다.

KT(대표 황창규)는 이탈리아 로마에서 12일 열린 ‘디지털 농업혁신 콘퍼런스’에서 황창규 회장이 기조연설을 했다고 밝혔다.

KT 황창규 회장이 지난 12일(이하 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디지털 농업혁신’ 콘퍼런스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KT)

이날 황창규 회장은 “5G에 기반한 4차 산업혁명은 도시와 제조업뿐 아니라 농촌과 농업 분야에서도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며 “KT는 가축전염병 확산방지 플랫폼을 주도해 글로벌 인지도를 한층 높여 5G와 혁신기술에 기반한 글로벌 플랫폼 사업자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주최로 열렸다. 유엔식량농업기구는 1945년 설립된 국제기구로, 194개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 식량문제 어젠다를 발의하고, 회원국을 대상으로 농업 및 식량 정책을 수립하는 역할을 한다.

기조연설에서 황창규 회장은 세계적으로 인간과 동물이 감염병을 고통받고 있는데, 감염병으로 인해 연간 지출되는 비용은 600억달러(약 71조원)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황창규 회장은 ICT를 활용하면 식량의 40%를 차지하는 축산물을 감염병에서 보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과 동물 빅데이터를 결합한 ‘가축전염병 확산방지 플랫폼(LEPP)’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황 회장은 LEPP 구축을 위해서 유엔과 각국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구체적으로 ▲유엔이 가축전염병 발생 정보를 수집해 세계적으로 공유하고, 각국에서 LEPP를 사용하도록 독려할 것 ▲각국 정부가 축산농가 정보를 LEPP에 공유할 것 ▲국제기구 학게 기업 관계자들이 LEPP 확산에 동참할 것 등을 요청했다.

황 회장은 “(LEPP 정보 수집에 따른) 개인정보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보호될 것”이라며“KT는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한편, KT는 이날 기조연설에 이어 FAO와 ‘ICT 기반 농업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양측은 ▲스마트팜 등 ICT 농업혁신 기술 교류 ▲글로벌 농업 청년 교육 프로그램인 ‘해커톤’을 활용한 농업 일자리 창출 ▲ 글로벌 민관협력을 통한 공동 프로젝트 추진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FAO 호세 그라치아노 다 실바 사무총장은 “ICT를 활용한 글로벌 감염병 확산방지에서 한 걸음 나아가 가축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KT의 제안에 큰 기대를 갖고 있다”며 “이번 MOU를 계기로 KT와 FAO가 기술과 경험을 공유해 인류의 공동번영에 기여했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