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 사이 한국 경제의 반도체 쏠림 현상이 크게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비금융 제조업 상장사 439곳의 재무지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두 기업이 전체 영업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7%에 달했다고 2일 발표했다.
나머지 437개사의 영업이익을 합쳐도 삼성전자·SK하이닉스 두 기업만 못한 셈이다. 지난 2012년 이 수치는 32.7%에 머물렀다.

전체 매출에서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차지하는 비중도 17.7%에 달했다. 439개사 전체 매출액은 2012년 대비 1.9% 소폭 증가했지만, 해당 두 기업을 제외할 경우 2.2% 감소한 것으로 드러나 반도체 편중 현상을 실감케 했다.
2012년 대비 2017년 영업이익 증가율도 두 기업을 포함시 73.7%에서 제외시 3분의 1 수준인 27.3%로 뚝 떨어졌다.

지난해 삼성전자는 매출 239조5천800억원에 영업이익 53조6천500억원, SK하이닉스는 매출 30조1천94억원에 영업이익 13조7천213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지난 5년 간 영업이익이 전기전자업에 편중되는 양상도 심화됐다.
2012년 전체 영업이익은 ▲전기전자업 32.5% ▲운수장비업 20.6% ▲화학업 11.2% ▲철강금속업 9.3%로 상대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인 반면, 지난해는 전기전자업의 비중이 54%로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다.
관련기사
- D램담합의혹...삼성·SK하이닉스 영향 제한적2018.05.02
- 삼성·SK 반도체 '高高' 행진…2Q도 '好好'2018.05.02
- 韓-中 메모리 격차, 삼성·SK 견해 달라…왜?2018.05.02
- '반도체 코리아' 삼성-SK하이닉스, 작년 4Q 메모리 시장 1, 2위2018.05.02

지난해 '슈퍼호황'을 맞은 반도체가 끌어올린 실적 증가에 한국 경제 전체가 도취되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연구원 추광호 일자리전략실장은 "일자리 창출 여력이 있는 주력업종들의 2012년 대비 매출 감소는 우리 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의미"라며 "지난해 우리 기업들의 호실적은 전기전자업종 및 일부 대기업의 견인효과가 컸으며 2014~2016년 실적 악화로 인한 기저효과가 있음에도 경기가 좋아졌다는 착시가 여전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