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업계 불확실성 확대…내년 경영계획 '깜깜'

투자 비용과 예상 수입 모두 예측하기 힘든 상황

방송/통신입력 :2017/12/06 08:02    수정: 2017/12/06 08:02

통신업계가 5G 시대를 대비한 투자와 통신비 인하 정책에 따른 수익성 악화 전망 속에서 내년도 경영 계획을 짜는데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비용과 수입 모두 불투명한 상황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통신사들은 내년도 경영계획의 주요 변수로 5G 주파수 경매대금, 새 정부의 통신비 인하 정책 영향, 새로운 수익인식 회계 기준(IFRS15) 등을 꼽고 있다.

이통사의 투자지출(CAPEX)을 포함한 연간 경영계획 전반은 내년 1월말이나 2월초에 예정된 2017년 실적발표에서 공개적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또 각사의 IR 파트는 투자자와 지속적인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

내년도 경영계획 가운데 가장 큰 불확실성은 5G 주파수 경매다. 정부는 5G 이동통신 조기 상용화를 위해 내년 상반기 내 관련 주파수를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통신사들은 사업자당 최소 800MHz 폭 이상의 충분한 대역폭과 함께 적정 할당대가 계획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기존 3G, 4G LTE 주파수 할당대가로 따졌을 때 투자 부담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또 경영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실제 지불해야 하는 할당대가를 가늠해야 하는데, 아직 예상 비용을 추산하기 어려운 단계다.

통신사 한 관계자는 “과거 10~20MHz 폭의 주파수를 할당받던 때와 전혀 다른 양상의 주파수 공급이 이뤄질 예정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다년간 분납을 하더라도 현재 단계에서 예상할 수 있는 비용의 폭이 매우 큰 편”이라며 “투자자 대상으로 소통할 때도 주파수 관련 비용은 제외하고 논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2019년 5G 조기 상용화 정책 추진에 힘이 실릴 경우 내년 하반기 선행 망투자의 범위도 불확실한 측면이 크다.

다른 관계자는 “5G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B2C까지 볼 것인지 또는 초기에는 B2B에 한정하더라도 예상 수익과 서비스의 범용성이 어느 정도일지 현재로서는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투자 비용을 미리 산정하기 어려운 편”이라고 설명했다.

새 정부의 통신비 인하 정책에 따른 영향은 올해 하반기 이전부터 불거진 경영리스크다. 연내 시행이 계획됐던 취약계층 요금감면은 다소 미뤄졌지만, 수익감소의 직격탄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는 “25% 요금할인율 상향은 마케팅비용 감소와 업셀링으로 상충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저소득층 요금감면이나 기초연금 수급자의 요금감면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만큼 예상 수익이 하락하는 구조라 올 하반기에 미친 통신비 정책 영향보다 클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또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는 단계에서 기초연금 수급자의 요금감면 정책은 일시적인 매출 하락이 아니라 지속적인 수익성 악화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민감하게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4분기 실적발표부터 적용될 예정인 새 회계기준 IFRS 15 도입에 대한 고민도 적지 않다. 회계기준이 바뀌었을 뿐 실제 수익과 비용이 달라진 것은 아니라고 보는 시각과 함께 수익산정 기준의 변경으로 연간 매출이 수천억원 가까이 감소한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 부담될 수도 있다는 의견이 혼재한다.

통신사 관계자는 “각사마다 IFRS 15 적용 방식에 대해 확정안을 내놓은 것은 아니지만 수익 인식 기준 변경으로 단말 판매 매출의 감소와 25% 약정할인 가입자의 매출 산정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면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손익 변동이라고 하더라도 이를 고려한 경영계획 판을 짜야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