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또 다시 찾아온 ‘포털 죽이기’

“뉴노멀스럽지 않은 ‘뉴노멀법’ 문제”

기자수첩입력 :2017/10/12 16:30

국정감사 시즌을 맞아 야당을 중심으로 ‘포털 죽이기’가 한창이다.

매출 규모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진 만큼, 네이버나 카카오와 같은 포털들이 더 많은 사회적 책임을 지고 공정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회 일각에서는 '뉴노멀법'이란 이름으로 포털이 이동통신사 수준의 강도 높은 규제를 받아야 한다는 법안까지 발의한 상황이다.

먼저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 하는 여러 근거와 논거의 적정성을 떠나, 포털들이 더 많이 또 진지하게 사회적 요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해외 기업과의 역차별만을 앞세워 뒤로 숨기보다, 또 강도 높은 규제로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보다 더 많은 공적 책임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작은 업체와의 더 나은 상생 방안, 이용자에게 신뢰받을 수 있는 공정하고 투명한 정책들을 진정성 있게 연구하고 실제 그 결과물을 내놔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 현장에서, 또 이용자들 사이에서 포털의 사회적 책임 강화를 끊임없이, 더 강하게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털들은 이런 목소리들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국회의 포털 옥죄기가 타당성을 갖는 건 아니다. 국민들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국회는 상식적인 이유를 갖고, 넓은 시각에서 포털에 사회적 책임을 주문해야 한다.

단순히 회사가 커졌고, 광고시장이나 ICT 환경이 인터넷 플랫폼 중심으로 흘러간다고 해서 이들을 악덕 기업으로 내몰아선 안 된다.

자유한국당 비례대표인 김성태 의원이 발의한 '뉴노멀법’이 대표적이다.

김의원은 이 법이 시대 변화에 따른 새 표준인 것처럼 포장했다. 하지만 겉모양만 그럴 뿐 속내를 들여다보면 시대를 역주행하는 법안이란 느낌이 강하게 든다. 주파수 같은 공공재를 이용해 경쟁이 제한된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얻는 이통사들과 같은 수준의 채찍(규제)을 가하는 것이 ‘새 시대, 새 표준’으로 불릴 수 있는지 의문이다.

포털 사업자들에게 더 큰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것 자체는 타당해 보이지만, 이통사와 방송사들에게 의무가 부여된 ‘방송통신발전기금’을 분담하라는 건 방법론에서 납득하기 힘든 대목이다. 방송통신발전기금이 더 걷힌다고 해서 국내 ICT 산업이 더욱 발전할지도 생각해볼 일이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지난 5년간 심의한 불법정보와 시정요구 수를 담은 통계 자료를 앞세워 포털에 그 책임을 덧씌우려는 것 또한 이해하기 어려운 논리다. 주장과 이를 뒷받침 하는 논거가 따로 노는 느낌이다.[☞관련기사: 김성태 의원의 포털규제 논리에 "글쎄…"]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2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 높은 포털의 공정성이 요구된다”면서도 “뉴노멀법이 글로벌 기업에 대해 규제나 실행력을 갖출 수 있는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성태 의원은 구글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해외 사업자들도 적용할 수 있는 ‘역외적용’ 조항을 신설했다고 하지만, 유영민 장관이 그 실효성에 의문을 표한 셈이다. 무수한 과거 사례를 통해 유추할 수 있듯, 또 국내 기업만 옥죄는 법안으로 보인다는 뜻으로 읽힌다.

지난 달 27일 민경욱 의원이 국회에서 주최한 ‘포털에 사회적 책임을 묻는다’ 토론회에서 대부분의 발제자와 토론자들은 포털의 사회적 책임 강화에 고개를 끄덕였다. 그럼에도 강제적인 책임 부과에 대해서는 상당수가 물음표를 던졌다.

관련기사

구글이나 페이스북 같은 글로벌 사업자들의 국내 ICT 시장 잠식이 가시화 된 시점에, 국가적인 생존 전략이 더 시급하다는 절박한 목소리가 토론장 분위기를 더욱 무겁게 했다는 점을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

국감 시즌을 맞아 포털에 대한 문제를 풀려는 의도는 아름다운데, 포장만 요란할 뿐 여전히 근시안적인 관점으로 접근하고 그 논리와 방법의 수가 얕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