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리서치킷 공개, '원격 진료' 확대될까

일반입력 :2015/03/10 11:06    수정: 2015/03/10 16:53

이재운 기자

애플이 의료 연구용 오픈소스 플랫폼 ‘리서치키트(Research Kit)’를 공개했다.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원격 진료’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9일(현지시간) 애플은 의료 분야 연구원들이 애플이 사용자들로부터 축적한 데이터를 연구활동에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리서치키트를 발표했다.

애플은 이를 통해 아이폰 등 iOS 기반 기기 사용자의 건강 관련 데이터를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오픈소스를 운영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애플은 관련 데이터를 전혀 들여다보지 않을 것이라며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점도 강조했다.

미국에서는 은퇴 이후 집 안에서만 머무르는 노년층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버라이존이나 AT&T 등 이동통신사업자들을 중심으로 IT 기업들이 일제히 원격 진료에 관한 연구개발과 사업 확대를 추진 중이다.

특히 미국은 의료보험 제도가 아직 완전히 보편화돼 있지 않고, 국토가 넓은 반면 의료시설은 이에 다 미치지 못해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환경에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애플의 이번 조치는 기본적인 건강 진단을 원격으로 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원격진료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시장조사업체 IHS의 셰인 워커 디렉터는 “7억명의 아이폰 이용자와 함께, 리서치키트는 데이터 수집 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의료 연구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특히 환자 상태 변화를 빨리 확인하는 의료 연구 분야의 새로운 툴로 추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한편 원격 진료에 대한 국내 환경 변화 여부도 주목된다. 국내에서도 서남해 도서지역이나 휴전선 인근 오지에서 복무하는 군 병력을 대상으로 일부 도입이 추진되고 있으나, 의료계의 반발 등으로 사업 본격화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삼성전자 등 대기업들이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부 규제를 비롯한 여러 제반 환경이 뒷받침 되지 않아 주춤하는 형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