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과기혁신역량 세계 7위…미국의 62% 수준

2013년 8위에서 1단계 상승

일반입력 :2014/12/02 15:41

한국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지난해보다 한 단계 상승해 세계 7위를 차지했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2014년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에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중 7위를 차지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국가별 과학기술혁신역량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2006년 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각 국가별 과학기술혁신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5개 부문(자원, 환경, 네트워크, 활동, 성과), 13개 항목으로 나누어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COSTII)를 산출하고 OECD 30개국을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올해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종합순위 7위로 전년대비 1단계 상승하였으며, 부문별로는 연구개발투자 등으로 대표되는 활동 부문(2위)과 자원 부문(8위)은 강점을 보인 반면, 연구개발(R&D) 지원제도, 문화 등으로 구성되는 환경 부문은 23위로 상대적으로 역량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1위 국가인 미국과 비교·평가에서는 미국의 62.0%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격차는 점차 좁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주요 국가별 현황을 살펴보면, 1위부터 미국, 스위스, 일본 순으로 최상위 그룹이 형성됐으며, 아일랜드와 독일은 지난해 대비 순위가 상승한 반면, 핀란드와 스웨덴, 네덜란드는 순위가 하락했다. 미국은 평가가 시작된 이래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스위스와 일본은 5년 연속 각각 2위와 3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미래부는 종합 순위상승에도 불구하고 이번 평가에서 미진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개발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