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안랩 주식 어떡하나...

일반입력 :2013/04/30 10:09

손경호 기자

안철수 의원(무소속)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안랩 주식 때문에 딜레마에 빠졌다. 지분을 모두 팔거나 백지신탁할 경우 안랩 투자자들로부터 원성을 살 수 있고, 이를 처분하지 않을 경우 국회 활동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이다.

지난 24일 치러진 재보궐 선거에서 서울시 노원병 지역구 의원으로 당선된 안 의원은 여전히 안랩 주식 186만주(지분 18.57%)를 보유하고 있다. 문제는 국회 상임위에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안 의원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팔거나 의원 활동 기간 동안 백지신탁해야한다는 점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30일 기준 안랩 주가가 9시 30분 기준 5만9천300원인 점을 고려하면 안 의원이 보유한 주식평가액은 약 1천102억원에 달한다. 안랩의 시가총액이 5천938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약 18%의 지분이 여전히 안 의원 몫으로 남아있다.

국회사무처에 따르면 보궐선거로 국회에 입성한 안 의원은 전임이었던 노회찬 진보정의당 전 의원이 속해있는 정무위원회에 배속하게 된다. 문제는 안 의원이 안랩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정무위 활동에 제약이 따른다는 점이다.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산업은행 등을 소관하는 정무위에서 의정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원칙상 이권이 개입될 수밖에 없는 지분을 어떤 식으로든 해결해야한다. 이는 기획재정위원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등에서도 마찬가지다.

안랩 주가는 그동안 일명 '안철수 효과'로 인해 등락을 거듭했다. 지난해부터 증권가에서는 '안철수 테마주'로 엮여 한때 안랩 주가 16만원을 호가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그 뒤 안 의원의 대선 출마 선언 이후 그의 발언이나 정치행보에 따라 주가 역시 요동치다가 지난해 말부터 4만원 수준으로 안정됐었다.

증권가에서는 그동안 투자자들이 안랩 자체의 경쟁력이나 가치보다도 안철수 효과에 주목했다는 시각이 일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