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 방송 끝…내년 ‘3D본방’ 가능성은?

일반입력 :2012/11/21 16:50    수정: 2012/11/21 16:58

남혜현 기자

지상파 방송사의 3D 시범 방송 종료가 나흘 앞으로 다가왔다. 실험을 끝낸 3D 프로그램이 내년부터 본 방송에 편성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1일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MBC와 EBS가 한 달 간 실시한 '3D 시범방송'이 오는 25일 종료된다. 향후 지상파 3D 방송 송출 여부는 방송사 결정에 달렸다.

업계는 이번 시범 방송을 3D 본 방송을 위한 초석으로 풀이한다. 정규 채널에 3D 방송을 내보낸 첫 실험이기 때문이다. 지난 런던올림픽까지 지상파들은 임시 채널인 66번을 통해 3D 방송을 송출해왔다.

성과도 있었다. 새벽 정파 시간이긴 하지만, 본 채널에서 3D 방송을 내보내는 데 큰 무리가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MBC 관계자는 수익 면에서 아직 3D가 도움이 되지 않지만 기술적 가능성은 검증됐다라며 방통위 허가가 나오면 내년엔 정규 시간에 본 방송 중 일부를 3D로 제작, 방영할 가능성도 있다라고 말했다.

방통위 역시 3D 방송 활성화를 적극 권장한다는 입장이다. 방송사들이 의지를 보인다면 내년에라도 당장 상용화(본 방송 편입) 허가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방통위 전파방송관리과 표경수 주무관은 시범 방송을 비롯해 상용화도 허가를 내줄 수 있다는 게 방통위 입장이라며 비용을 들인 기술인 만큼 상용화 되길 바란다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3D TV 보급률도 가파르게 늘고 있어 시청 환경도 자연스레 형성되는 분위기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해 판매된 평판TV 중 약 70%가 3D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3D 프로그램의 본 방송 편입 여건에 대해선 방송사와 방통위가 엇갈린 입장을 내놓고 있다. 3D 본방송이란 대의엔 동의해도 방송 환경 판단에 대한 인식은 다르다. 방통위는 방송사의 자율 의지를 강조하는 반면, 방송사들은 방통위가 확고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라고 주장한다.

방통위 측은 3D 방송 송출 여부는 정부가 강제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며, 방송사가 개별 판단해 실행할 사안이라 강조한다. 이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듀얼스트리밍 방식이 3D 방송 표준으로 정해진 만큼, 기술적 문제도 해결됐다는 판단이다.

방송사들은 방통위 입장에 난감하다는 표정이다. 3D 송출 시스템이 기술적으로 마련됐다 하더라도, 이를 개별 방송국 사정에 맞추기 위해선 아직까지 갖춰야 할 부분이 더 많다는 지적이다. 현재로선 3D 방송 기술 검증을 위한 최소한의 시스템만 갖춘 상태란 것이다.

한 지상파 방송 관계자는 2D에서 3D로, 3D에서 다시 2D로 방송이 전환될 때 약간의 지연이 생기고 있다라며 표준 기술 자체엔 만족하지만, 개별 방송국마다 보유한 시스템이 적고 또 최적화를 위한 별도 장비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24시간 방송으로 전환한 SBS와 KBS의 경우 본 방송 진입을 위한 3D 방송 실험이 여의치 않은 상태다. 정파 시간이 없다보니 3D 방송 실험을 위한 여유도 부족하다.

SBS 관계자는 현재 3D 시범 방송은 중단한 상태라며 정파시간이란 개념이 없어졌으니 야간 편성이 빌 경우 일부 방송을 시범적으로 하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를 비롯, 3D TV를 판매하는 가전사 지원이 부족하다는 불만도 계속해 제기된다. 3D TV 마케팅으로 가전사들이 가장 큰 수혜를 입었으나 별다른 지원은 없다는 이야기다.

관련기사

여기에 올해부터 기획재정부가 3D 방송 지원을 위한 별도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 기본적인 시스템 개발이 마무리 된 상황에서 내년에도 별도 예산 지원은 없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방송사 관계자는 정부가 전폭적으로 3D 방송을 밀어줬으면 좋겠는데, 최근 분위기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라며 방송국 입장에선 관련 콘텐츠는 물론 방송 시스템까지 아직 더 준비해야 할 부분이 많은데 정부의 3D 정책이 확실하지 않은 것 같아 선뜻 투자하기도 어렵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