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5 공급 부족 이유 알고보니...

일반입력 :2012/10/18 08:55    수정: 2012/10/18 16:56

이재구 기자

“(애플은) 아이폰5의 특징인 가볍고 얇은 단말기를 만들기 위해 매우 복잡한 디자인을 했다...아이폰5는 폭스콘이 만든 그 어떤 애플 제품보다도 만들기 힘든 단말기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7일(현지시간) 시간이 지나면서 숨통을 트일 것으로 예상된 아이폰5의 공급부족 현상의 배경에 이런 원인이 있으며 이로인해 제조가 늦어지며, 물량 부족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보도는 그 어떤 아이폰보다도 많은 초기 사전판매로 놀라움을 주었던 아이폰5의 판매량이 급속히 하락하고 있고, 일부 분석가들의 판매 예상에도 못미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같은 배경을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폭스콘임원의 말을 인용, “아이폰5는 폭스콘이 그동안 조립한 제품들 가운데 가장 만들기 어려운 단말기여서 생산라인의 근로자들이 여전히 조립방법을 배우고 있을 정도”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임원은 “근로자들이 연습을 통해 점점 더 조립을 잘해 나가고 있다며 생산성은 매일매일 개선되고 있다“고 전했다.

폭스콘의 임원은 새 아이폰5의 금속뒷판 케이스에는 새로운 코팅 물질을 사용했지만 흠집에 약하다고 전했다.

폭스콘은 최근 아이폰5의 제품 흠집을 줄이기 위해 제품 품질 검사 과정도 두었다. 이 임원은 “미학적인 필요성과 실용적 필요성을 만족시키는 것은 항상 어렵다”고 말했다.

폭스콘은 또 자사의 한 공장에서 14세미만 어린이들을 제품공장에 고용한 사실도 인정했다.

보도는 최근 정저우 공장에서의 파업사태는 폭스콘이 강력한 수요를 보이고 있는 아이폰5를 제때 공급할지에 대한 의구심을 더해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보도는 이 폭스콘임원의 말을 인용, 이달초 중국 국경절을 맞아 발생한 정저우공장 파업에서는 제품생산라인 직원과 품질체크 작업자도 포함돼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어떤 사고도 작업을 중단하게 만들지는 못했다고 전했다. 또 폭스콘이 현재 중국 중부 허난성 정저우시와 남부 관란시에서 아이폰5를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폭스콘 임원은 최근 발생했던 조립라인 근로자와 품질검사인력간의 분쟁은 부분적으로는 금속 뒷판, 그리고 ‘다른 품질문제“ 때문이라는 말했지만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다.

이 임원은 “지난 2011년 세워진 정저우공장 직원들에게 아이폰5는 여전히 새로우며, 이젠 근로자들을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대해 배워가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