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스마트워크 1년 “출퇴근시간이 무려…”

일반입력 :2012/04/26 10:53    수정: 2012/04/26 10:58

정윤희 기자

KT 스마트워크에 참여한 직원들의 1인당 출퇴근 절감시간이 94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KT(대표 이석채)는 2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스마트워크&스마트라이프’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지난 1년 동안의 스마트워크 운영성과를 발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을 맡은 독일의 사회과학자 겸 저널리스트 마르쿠스 알베르스는 “한국의 스마트워크에 대해 평소 관심이 많았으며, KT와 같은 기업이 스마트워크의 모범적인 사례”라며 “스마트워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제도와 기술, 소통의 세 가지가 효과적으로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KT는 지난해 4월부터 직원 2만여명을 대상으로 스마트워크를 적용해왔다. 도입초기 우려의 목소리도 많았으나 문화적 인식 전환 및 기술적 서포트,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통해 스마트워크를 조기 정착시킬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KT 직원들의 스마트워크 참여 비율은 지난해 대비 4.3배 증가했다. 매달 약 4천명의 직원들이 스마트워킹센터 또는 재택근무를 이용 중이다. KT는 1인당 출퇴근 절감시간 94분을 적용하면 연간 26년의 시간이 절감된다고 강조했다.

직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 출퇴근시간 절감으로 발생한 여유시간을 가족과 함께 보낸 비율이 34%로 가장 컸다. 휴식 및 자기개발에 이어 업무에 재활용하는 비중도 17.5%에 달했다. 이를 근무시간에 반영하면 현재보다 5% 이상의 생산성 향상 효과가 산출된다는 것이 KT의 분석이다.

내부 만족도 역시 높았다. 기존의 사무실 근무와 비교해 집중도가 향상됐다는 의견이 72.2%에 달했다.

출퇴근 거리 감소로 인한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도 컸다. 1인당 평균 출퇴근 거리 33.4Km를 지난 3월 한 달 동안의 스마트워크 이용일수 1만1천700일에 적용하면 39만Km로 지구 9.7바퀴의 출퇴근 거리가 감소하고 20톤의 이산화탄소 절감효과가 산출됐다.

또한 아이패드를 활용한 회의문화 등 스마트환경 구축으로 지난 2010년 1인당 월평균 231장의 종이 사용량이 작년에는 188장으로 약 20%가 줄어들었다. 이를 연간으로 계산하면 약 83톤의 종이가 절약된다.

KT는 직원들을 위해 운영 중인 분당, 서초, 광화문, 동작 등 서울과 수도권 15개, 대전 1개의 스마트워킹센터를 직원의 거주지 분석 및 니즈를 반영해 연말까지 약 3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여기에 스마트워크를 위한 IT시스템도 추가 반영한다.

관련기사

김은혜 KT 전무는 “스마트워크는 근로 장소와 시간의 유연성을 높이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상생, 장애우-육아 여성 등 사회적 취약 계층을 지원하는 데도 효과적인 시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상훈 KT G&E부문 사장도 “스마트워킹은 단순히 IT솔루션을 업무에 적용하는 개념을 넘어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통해 직원들의 근무만족도와 생산성을 한 번에 높이는 혁신 프로젝트”라며 “KT는 공간과 IT 인프라를 결합한 올레 스마트워킹센터를 더욱 확대해 중소기업들도 스마트워크의 혜택을 손쉽게 누릴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