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4G 표준에 국내기술 이렇게나…

일반입력 :2012/01/19 11:11

국내 통신기술이 4G 국제표준에 상당부분 반영되는 쾌거를 이뤄냈다.

방송통신위원회 국립전파연구원은 18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파통신총회에서 이동통신 4G(IMT-Advanced)기술의 국제표준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IMT-어드밴스드는 4G의 공식 명칭으로 LTE-어드밴스드와 와이브로 에볼루션을 포함하며, 이동 시 100Mbps, 고정 시 1G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10년간 ITU, IEEE, 3GPP 및 지역 표준화 기구의 4G 표준화 회의에 120여회 이상 지속적으로 참여해 우리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해 왔으며, 이번 전파통신총회에서 확정된 이동통신 4G 국제표준에 다수의 우리기술을 반영시키는 성과를 남겼다.

관련기사

미국 경제지 포브스에 따르면, 국내기업의 LTE-어드밴스드 핵심특허 점유율이 30% 이상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방통위 측은 “IMT-어드밴스드는 울트라 HD급 동영상과 3D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며 “2015년 상용화될 경우 관련분야 우리나라 기업의 매출이 5년간 350조원 이상 창출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