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균 삼성 “LTE 장악, 와이브로도 지속”

일반입력 :2011/11/28 12:30    수정: 2011/11/28 14:21

김태정 기자

신종균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이 4세대(4G) 이동통신 ‘롱텀에볼루션(LTE)’ 시장을 장악하는 한편, 와이브로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두 4G 기술 모두를 키워 애플을 비롯한 경쟁사들을 압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LTE가 선봉이라면 와이브로는 후방서 보완재 역할을 한다.

신 사장은 28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서 ‘갤럭시 노트’ 공개 간담회를 열고 기자와 만나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남은 한해 전 세계 LTE 단말기 시장 점유율 30% 이상을 유지할 것”이라며 “소비자 선택권이 늘어나도록 신제품 개발에 매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이미 전 세계 LTE 단말기 판매량 1위 업체다.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 최근 조사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분기 LTE 스마트폰 40만대를 팔았고, 점유율 33.3%로 1위에 올랐다.

게다가 연말 ‘갤럭시 노트’를 비롯한 대형 LTE 제품들을 내세워 단독 1위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갤럭시 노트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장점을 결합한 5.3인치 기기로, 손글씨 기능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1.5㎓ 듀얼코어 프로세서와 안드로이드2.3(진저브레드) 운영체제(OS), 5.3인치 HD 슈퍼AMOLED 화면, 9.65mm 두께, 182g 초경량 무게, 지상파 DMB,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800만화소 카메라 등 사양을 갖췄다.

신 사장은 “갤럭시 노트는 국내서만 200만대 이상 팔릴 것”이라며 “올해 스마트폰 6천만대 판매량 달성이 무난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LTE는 적어도 당분간 한국과 미국, 일본 기업들이 주도할 것”이라며 “후발 기업들과 격차를 더 벌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불거진 와이브로 철수설에 대해서는 정면 반박했다. 전용 단말기도 준비 중이라는 설명.

관련기사

신 사장은 “수요가 있는 사업은 지속하는 것이 삼성전자의 기조”라며 “와이브로 전용 단말기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달 현재 국내서 판매 중인 와이브로 스마트폰은 대만 HTC의 ‘이보4G+’ 1종이다. 삼성전자가 와이브로 단말기를 출시하면 관련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