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야, 스마트TV야

일반입력 :2010/11/11 13:14    수정: 2010/11/11 15:17

김태정 기자

LG유플러스가 IPTV 서비스를 스마트TV 형태로 진화시켰다. 개방형 TV 앱스토어 플랫폼이 기반이다.

LG유플러스는 11일 LG광화문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유플러스 TV 스마트7’을 출시를 발표했다.

핵심은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인 ‘유플러스 박스’로 스마트7에 기본 위젯 형태로 탑재했다. TV에서 다양한 동영상과 사진, 음악, 문서 등 콘텐츠 이용이 가능하다.

현재까지 게임과 학습, 동화 등 플래시 콘텐츠 80여개를 확보했으며, 외부개발자들이 자유롭게 콘텐츠를 팔 수 있는 장터도 제공한다. 인터넷 서핑 기능도 대폭 강화해 TV를 통해 컴퓨터에 준하는 인터넷 이용 환경을 구현한다는 것이 업체 측 설명이다.

그간 IPTV 서비스의 약점으로 지목돼 온 리모트 콘트롤 기능은 어느 각도에서나 조작이 가능한 RF 방식을 도입해 개선했다. 시청 중 원하는 상품의 검색에서 구매까지 원스톱 쇼핑이 가능한 T커머스도 눈에 띈다.

이 밖에 양방향 정보관을 제공, 드라마 시청후 등장인물이나 스토리에 관련한 퀴즈 이벤트에 응모하는 등 맞춤형 광고 서비스도 가능하다.

다만 풀브라우징을 구현하면서도 인터넷 동영상은 서비스되지 않는다. 웹상에 있는 동영상 구현에는 아직 제한이 있다는 것이 업체 측 설명이다.

LG유플러스는 기존 유플러스TV 고객들도 셋톱박스 업그레이드를 통해 이 서비스를 이용케 할 계획이다. 이용요금은 기존 서비스 요금 체계(스마트라이트의 경우 3년 약정시 월 9천원)와 동일하며, 이용자 편의를 강화한 핑거마우스 리모콘 이용시 월 1천원이 추가된다.

이정식 LG유플러스 홈솔루션 사업본부장은 “웹콘텐츠 및 양방향 서비스 제공의 한계를 뛰어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구현했다”며 “기존 IPTV와 스마트TV 경계를 허무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어 “다양한 콘텐츠 사업자들과 제휴해 고객 중심의 1등 IPTV 사업자가 되도록 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스마트7을 내세워 내년 말까지 IPTV 가입자 최소 100만명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콘텐츠 질적 향상이 관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