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미디어재단은 국민 누구나 AI를 활용해 안전하고 올바르게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AI 활용 미디어 제작 지원 가이드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최근 생성형 AI 기술이 확산되면서 영상 이미지 오디오 등 미디어 콘텐츠를 누구나 손쉽게 만들게 됐으나 이와 함께 허위정보 생성, 저작권 침해, 개인정보 노출 등 새로운 위험 역시 증가하고 있다.
재단이 마련한 가이드는 공공미디어 분야에서 국민이 주체가 되어 AI 콘텐츠를 안전하게 제작 유통할 수 있도록 공적 기준을 제시한 국내 최초의 사례다.
주요 내용은 ▲인간중심 제작 ▲저작권 개인정보 등 합법성 준수 ▲사회적 공익, 공공성 지향 등 3대 기본 원칙과 ▲책임성 ▲투명성 확보 ▲공정성 및 다양성 ▲신뢰성 등으로 구성됐다.
관련기사
- 시청자미디어재단, 7일 배리어프리 영화 무료 상영2025.11.06
- 시청자미디어재단, 미디어교육 우수사례 공모전 시상식 개최2025.11.03
- 시청자미디어재단, 세이브더칠드런과 장애아동 미디어 접근권 보장 협약2025.09.26
- 넷플릭스, 더빙으로 시청 장벽 허물다2025.08.28
시민이 AI를 활용해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전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 점이 눈길을 끈다. 또한 AI 도구 활용 시 제작자의 검수 책임, AI 활용 여부 명시, 개인정보 입력 제한 등 실질적으로 확인 가능한 체크리스트를 제공해 전국 12개 시청자미디어센터의 제작지원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최철호 시청자미디어재단 이사장은 “생성형 AI가 일상적으로 활용되는 시대에, 국민이 미디어를 안전하게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공공기관의 중요한 책무”라며 “이번 가이드가 건전한 AI 기반 미디어 제작 문화를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