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유행이 지속되고 있어 예방접종 참여가 필요하다.
올해 독감 유행주의보는 지난해보다 2개월 앞당겨졌다. 이달 기준 외래 환자 1천 명당 의심환자는 50.7명이다. 최근 10년 같은 기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7세~18세 학령기 아동‧청소년에서 환자 발생이 급증하면서 가족 내 전파 위험도 커지고 있다.
백신 접종 이전에 독감에 이미 걸렸거나 지나가면 독감백신 접종에 대한 필요성을 덜 느끼게 될 수 있다. 하지만 독감 바이러스는 여러 아형이 존재한다. 때문에 한 번 걸렸어도 또 감염될 수 있어 접종을 고려해야 한다.
독감백신은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약 2주가 소요된다. 우리나라에서 독감이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1차 유행한 후, 3~4월에 2차 유행한다. 때문에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접종해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독감백신의 목적은 감염을 막고, 고위험군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남은 유행 동안 폐렴, 입원 등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65세 이상 ▲심장질환‧폐질환‧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임산부 ▲영유아 및 소아 ▲면역저하자 ▲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종사자 등은 매년 독감백신 접종이 권고된다.
고위험군에서 독감 감염되면 폐렴과 호흡부전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인이나 가족, 밀접한 범위에 고위험군이 있다면, 예방접종과 개인 위생관리를 통해 독감 감염뿐 아니라 이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관련기사
- [1분건강] 80세 이상 4명 중 1명 ‘심부전’2025.11.24
- [1분건강] 식욕 억제 다이어트, 오히려 살찌는 체질 만든다2025.11.23
- [1분건강] 도심 속 숲 많을수록 알레르기 염증 감소한다2025.11.20
- [1분건강] 40대 후반 여성, 체질량과 유방암 발병률 관련있다2025.11.19
고려대안암병원 윤지현 가정의학과 교수는 “아직 접종하지 않았다면 12월 초까지는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좋다”라며 “고위험군이라면 이른 시일 안에 접종하는 것이 건강 관리에 유리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독감백신은 건강한 성인에서 70%~90% 발병 예방효과가 있다. 65세 이상 고령자에게서는 발병 예방효과가 40%로 다소 낮지만, 입원을 예방하는 데 50%~60%, 사망을 예방하는 데는 80% 정도의 효과가 있다”라며 “올해 예년보다 유행이 일찍 시작되었지만 봄까지 지속되므로, 아직 접종하지 않은 고위험군은 지체 없이 접종할 것을 권장한다”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