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항공기 제작사 에어버스는 대전에 '에어버스 테크 허브'를 설립했다고 18일 밝혔다.
한국 내 에어버스 테크 허브는 산업통상부·대전광역시와 협력해 설립됐다. 국내 산업의 강점을 기반으로 ▲미래 에너지 기술 개발 ▲첨단 경량 복합소재 ▲차세대 방위 및 우주 기술 등 세 가지 연구 분야에 집중한다.
에어버스는 테크 허브 개소식에서 세 건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먼저 산업통상부와 대전의 기술 생태계 내에서 연구 및 혁신 프로젝트를 신속하게 시작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대전광역시와는 대전 기술 환경 전반에 걸쳐 에어버스의 연구 및 혁신 계획을 지원하고 가속화하겠다는 의지를 공유했다. 한국무역협회는 국내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을 활용해 신규 파트너를 발굴·협력할 예정이다.
에어버스는 LIG넥스원과 협력해 통신 신호 송수신에 사용되는 우주용 칩 안테나 기술을 개발한다. 또한 이엠코어텍과 전자기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 전기화 응용 분야에 필요한 능동 필터링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허브는 최근 부산에 설립된 에어버스의 자회사인 복합재 기술센터(CTC) 개소와 더불어 그 역할을 강화한다. CTC 부산 사무소는 항공우주 분야 첨단 복합재 소재 및 공정 연구 개발을 위해 부산테크노파크와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관련기사
- "글로벌 항공기업 R&D센터 대전 유치 추진"2025.10.30
- 에어버스, LIG넥스원과 방위산업 맞손2025.10.22
- KAI, 에어버스와 항공우주 협력 MOU2025.10.20
- 에어버스 "韓, 전략적 동반자…산업협력 확대"2025.10.16
한국은 에어버스의 글로벌 테크 허브 네트워크에 합류한 네 번째 국가다. 앞서 일본, 네덜란드, 싱가포르에 이미 테크 허브가 운영되고 있다.
마크 벤톨 에어버스 연구·기술(R&T)프로그램 총괄은 "테크 허브를 통해 한국의 첨단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며 "미래 항공기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한국을 신뢰할 수 있는 장기 파트너로 지속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