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수치(ALT)가 임상적으로 정상 범위이거나 뚜렷한 상승이 없는 만성 B형간염 환자라고 해도 혈액 속에 B형간염 바이러스가 많이 남아 있으면 위험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간수치(ALT), 즉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란 간손상을 알 수 있는 혈액검사 수치를 말한다. 정상이라도 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혈액 속 B형간염 바이러스(HBV DNA)는 B형간염 바이러스의 양을 나타내는 혈액검사 수치로, 수치가 높을수록 간 손상 위험이 증가한다.
서울아산병원 임영석 교수가 2019년~2023년 우리나라와 대만의 22개 의료기관에서 간수치(ALT)가 임상적으로 정상 또는 경미 상승 범위이면서 혈액 속에 B형간염 바이러스가 많이 남아 있는 734명의 비간경변성 만성 B형감염 환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조기 항바이러스 치료군에서 간암·사망·간부전 등 주요 임상사건 발생률이 경과관찰군보다 약 79% 낮았다. 또 비용-효과성 분석에서도 조기 치료군은 초기 약제비 부담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간암·간부전 등 고비용 합병증을 예방하여 비용-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만성 B형간염은 생산활동 연령대에서 유병률이 높다. 간암으로 이어지면 고액 의료비 발생 및 조기 사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매우 높은 질환이다.
하지만 국내 유병자 중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는 비율은 약 21%에 그친다. 현행 건강보험 급여 기준이 ALT 수치 상승 여부에 따라 제한적으로 적용돼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충분히 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관련기사
- [1분건강] 피할 수 없는 갱년기 극복법은?2025.11.09
- [1분건강] 겨울철 생명신호 ‘맥박’에 더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2025.11.07
- [1분건강] 배달 음식·단 음료에 ‘청년 당뇨병’ 는다2025.11.06
- [1분건강] 수능 D-7...수험생 눈건강 주의보2025.11.04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진료 현장에서 ALT 수치보다 바이러스 역가 기준으로 치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라며 “급여 기준도 ‘치료 회색지대(grey zone)’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비용-효과성이 입증된 40대 이상의 중위 역가바이러스 환자의 항바이러스 치료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적용 확대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