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업들은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기술혁신 속에서 초불확실성의 파고를 넘고 있다. 외부 환경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내부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조직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성과관리와 인사평가 혁신이 생존을 위한 핵심 과제로 급부상했다.
이런 가운데 국내 1위 HR 솔루션 전문 기업 마이다스그룹은 지난달 29일 서울 섬유센터 컨퍼런스홀에서 ‘H. Insight Day(에이치닷 인사이트 데이)’를 개최했다. ‘성장으로 이어지는 성과관리와 평가 스킬업’을 주제로 한 이번 세미나에 현대무벡스, BGF리테일, 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등 약 100개 기업의 HR 리더가 참석해 성과관리와 인사평가 혁신 방안을 공유했다.
길종호 에이치닷 시니어 컨설턴트는 “성과는 조직 역량과 시장 환경간 상호작용으로 결정된다”며 “시장 환경은 통제할 수 없지만 조직 내부, 특히 리더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은 변화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리더와 구성원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성과관리와 인사평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면 조직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길 컨설턴트는 미디어,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업계에서 이러한 선순환을 실현한 사례를 소개했다. 성과관리 측면에서는 ▲조직-개인 목표 정렬을 통한 성과 창출 실행력 강화 ▲직무 특성에 맞는 평가 기준 구체화 ▲주기적 피드백을 통한 과정관리 강화 ▲평가자 책임 명확화로 공정성 확보 ▲성과-보상체계 연계를 통한 동기부여 제고 등의 방식을 설명했다.
인사평가 측면에서는 ▲일상적 업무와 평가 연계를 통한 평가 상시화로 환경 변화에 유연한 대응 ▲동료 간 피드백 교환을 통한 집단 소통으로 평가 신뢰성 확보 ▲상대평가 완화로 불필요한 내부 경쟁 최소화 및 협력 강화 등 구성원의 성과 개선과 성장에 초점을 맞춘 방식을 소개했다.
이와 함께 세미나에서는 기업 리더들의 실무 사례도 공유했다. 우경천 오스템임플란트 인사기획팀 팀장은 인사평가 메타인지 제고를 통한 공정한 평가 구축 사례를 발표했고, 성창원 엑시온파트너스 상무는 AI 기반 HR 일상화 등 2025년 HR 트렌드를 짚었다.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는 ‘OKR 제도 도입 시 지원 인력 지표 설정’, ‘절대평가 운영 시 변별력 확보’, ‘평가 체계 구축 방법’ 등 HR 리더들의 실질적 고민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관련기사
- 마이다스그룹, 마이스터고 인재 채용..."학력보다 역량이 중요”2025.10.22
- 마이다스그룹 "취준생 소통 강화"...'역검 크루' 4기 발대식 개최2025.09.30
- 마이다스그룹, 2년만에 대규모 공채..."2030년 성장동력 확보"2025.09.22
- 정부 "KT가 해킹 숨기려고 백신 돌린 흔적 발견"2025.11.06
마이다스그룹은 참석 기업을 대상으로 구성원 교육 프로그램과 ‘에이치닷 성과’ 솔루션 도입 컨설팅 등 후속 지원을 진행할 예정이다.
2022년 출시 이후 누적 약 700개 기업이 도입한 ‘에이치닷 성과’ 솔루션은 구성원 성장 중심의 성과관리와 데이터 기반의 공정한 인사평가를 지원한다. 이 외에도 마이다스그룹(마이다스아이티, 마이다스인, 자인연구소 등)은 HR 통합 플랫폼 ‘에이치닷’을 통해 AI역량검사(역검), 채용 솔루션(ATS), 인재 매칭 등 HR 솔루션을 제공하며 ‘대한민국 대표 HR 센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