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준호 미래로봇추진단장 "삼성, 로봇 생태계 구축할 것"

"휴머노이드 산업, 캐즘 넘을 준비 됐나…삼성은 생태계 승부"

디지털경제입력 :2025/11/05 14:58

"삼성은 로봇 기술을 실제 산업과 생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 제공자이자 사용자입니다. 다양한 기술을 융합해 공장과 가정,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하는 연구를 진행합니다."

오준호 삼성전자 미래로봇추진단장은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로봇심포지엄'에서 로봇 기술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에 대해 이같이 짚었다.

그는 이날 발표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현황과 삼성의 전략적 위치를 심도 있게 분석했다. 삼성이 단순히 로봇을 만드는 회사가 아니라, 로봇 기술 생태계 전체를 통합·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기업으로 도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준호 삼성전자 미래로봇추진단장이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로봇심포지엄'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오 단장은 "인간형 로봇은 이미 30년 전부터 꾸준히 연구되어 온 분야"라며 "2000년대 초반부터 로봇의 보행, 자세 제어, 인간형 동작 구현을 연구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2015년 미국 달파 로보틱스 챌린지에 참가했던 경험을 소개하며 "다양한 실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형 로봇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회고했다.

오 단장은 최근의 로봇 붐을 "인공지능(AI)과 생성형 기술이 만든 새로운 전환점"으로 평가했다. 그는 "예전에는 물리 모델 기반으로 동작을 계산했지만, 지금은 인공지능이 스스로 학습해 더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움직임을 구현하는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산업용, 가정용, 공공용 등 사용자 그룹마다 요구가 다르다는 점도 강조했다. "공장 자동화를 하는 사람은 정교한 조립 기술에 관심이 있고, 가정에서는 인공지능 대화나 협력 기능이 더 중요하다"며 "로봇이 한 가지 형태로 정의될 수 없다"고 봤다.

오준호 삼성전자 미래로봇추진단장이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로봇심포지엄'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오 단장은 "삼성은 세계적으로 드물게 로봇 기술 제공자이자 동시에 소비자 역할을 하는 기업"이라며 "거의 모든 핵심 기술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고 로봇을 직접 활용할 내수 환경도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삼성의 도전은 단순히 로봇 한 대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술 요소와 시장을 잇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있다"며 "강화학습 기반 제어와 안정성 강화 알고리즘 등을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오 단장은 글로벌 로봇 산업이 혁신기에서 대중 시장으로 가는 길목, 즉 '캐즘'을 건너야 하는 시점이 온다고 진단했다. 신뢰성과 내구성, 가용성, 경제성, 혁신 지속성을 이겨내야 로봇 산업이 대중화 될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그는 "삼성은 이겨낼 잠재력을 지녔다"면서 "현재 갖추고 있는 다양한 능력들이 효과를 낸다면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