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민 국회의원 (조국혁신당,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은 공공과학기술연구노동조합과 공동 주관으로 오는 7일 국회의원회관 제11간담회의실에서 과학기술계 토론회를 개최한다.
공동 주최자는 이해민 의원 외에 최민희 과방위원장을 비롯해 김현·이주희·황정아·최수진 의원(이상 과방위 소속)이 참여했다.
'포스트-PBS, 성과를 넘어 신뢰로 연구의 길을 다시 묻다'를 주제로 마련된 이날 토론회는 지난 국정감사 기간 제기된 과학기술계 현안 후속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논의 주제는 ▲PBS(연구과제중심제도)의 구조적 한계 ▲폐지 이후 단계별 이행방안 ▲출연연 자율성과 책임성 확보 방안 등을 중점 다룬다. 또한 성과 중심 평가 체계를 보완하고, 신뢰와 자율에 기반한 연구환경 조성 방안도 함께 논의한다.
관련기사
- "R&D 예산집행에 대한 책임 주체, 제도로 규정해야"2025.08.28
- 출연연 '연구성과중심제' 30년만에 폐지…"임무중심형 전환"2025.07.29
- [박희범의 과학카페] 공개 망신 KAIST, 예산 얘기 못한 ETRI2025.10.26
- 이해민 의원 "R&D는 적시성· 자율성· 전문성이 중요"2025.10.29
발제는 이광오 공공과기노조 정책위원장이 맡았다. 패널토론에서는 장영배 전 과기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좌장을 맡는다 . 토론에는 김민수 ETRI 책임연구원 ,김태진 IITP 수석연구원 ,노환진 전 UST 교수, 이은영 과기정통부 연구성과혁신관이 참여한다.
이해민 의원은 "PBS 폐지 이후의 제도적 공백을 메우는 일은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복원하는 일” 이라며 , “이번 토론회가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 개선으로 연결하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