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청소기 흡입력 표기 제각각…내년부터 표준화된다

국가표준(KS) 도입 추진…객관적 비교 가능해질 전망

홈&모바일입력 :2025/09/18 17:17

무선청소기 제조사마다 흡입력을 표기하는 단위가 달라 소비자들이 제품 성능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정부와 시험기관이 관련 기준 마련에 나섰다.

18일 한국소비자원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과 함께 삼성전자·LG전자·다이슨·샤오미 등 10개 무선청소기 제품을 대상으로 흡입력 시험평가한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10개 제품 중 단 3개만이 표시된 흡입력 수치를 충족했다. 6개 제품은 '파스칼(Pa)' 단위 진공도를 흡입력처럼 표시해 소비자가 성능을 실제보다 더 우수하게 오인할 가능성이 컸다.

무선청소기 최대흡입력 시험평가결과표 (사진=한국소비자원)

파스칼(Pa)은 기기 내부 압력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다.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과 직접적인 상관은 없다. 반면 국제표준(IEC)에서는 와트(W), ASTM 기준에서는 에어와트(AW)를 흡입력 단위로 사용한다.

시험 결과 삼성전자·LG전자 등 와트(W) 단위를 사용한 제품과 다이슨(에어와트 사용) 제품은 280W 이상 흡입력을 충족했다. 반면 드리미는 표시 수치(150AW)에 못 미치는 121AW(80%) 수준이었다.

아이닉·아이룸·샤오미·디베아·로보락·틴도우 등 파스칼(Pa) 단위를 사용한 6개 제품은 1만8천~4만8천Pa로 표시했지만, 실제 최대 흡입력은 58~160W에 그쳤다. 단위를 제외하고 단순 수치만 비교하면 훨씬 낮은 성능으로 나타난 셈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내년 초까지 국제표준(IEC) 기준을 반영한 무선청소기 국가표준(KS)을 마련해 소비자가 통일된 단위(W)로 성능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한국산업기술시험원도 청소성능, 소음, 먼지 재방출량 등 KS에 반영될 시험설비와 세부 시험방법을 구축해 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은 10개 제조·수입사에 시험결과를 공유하고, 8개 수입업체에 흡입력 단위 표기 개선을 권고했다. 또한 한국에너지공단에 무선청소기를 효율관리기자재(에너지소비효율등급·청소성능 의무 표시) 대상 품목으로 지정할 것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