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스 수출로 제2도약 노리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매직 통할까

관세 등 변수 있어...자체 생산 아니라 수익성 어렵다는 예상도

유통입력 :2025/09/15 16:17    수정: 2025/09/15 16:41

더본코리아가 소스 수출을 신성장동력으로 삼아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일본·미국을 넘어 유럽과 동남아까지 진출을 모색하며 2030년까지 매출 1천억원 달성을 목표로 내세웠다. K-푸드 열풍과 백종원 대표의 해외 인지도가 강점으로 꼽히지만, OEM 의존 구조와 물류·관세 부담, 현지 유통망 확보라는 현실적 제약이 병존해 성패를 가를 변수로 지목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더본코리아는 이르면 11월부터 해외 소스 수출을 시작할 예정이다. 회사는 먼저 독일에 한식당을 열고 유럽 시장까지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목표는 2030년까지 1천억원 매출 달성이다.

더본코리아가 공개한 글로벌 B2B 소스 7종

백종원 대표는 지난 3일 기자간담회에서 “1천억원도 매우 보수적으로 잡은 목표치”라며 “빠른 시간 내에 미국부터 시작해 해외에서 많은 활동을 하려고 현재 준비 중에 있다”고 밝혔다.

회사가 소스를 앞세우는 데는 이유가 있다. 백종원 대표를 앞세운 지역 개발과 축제 사업이 최근 백 대표를 둘러싼 논란으로 제동이 걸리며 새로운 수익원이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더본코리아와 손잡고 축제를 계획했던 통영시와 예산군, 홍성군 등 지자체들은 올해 축제에서 더본코리아와 협업하지 않기로 결정한 바 있다.

여전히 회사 실적 대부분은 외식 프랜차이즈에서 발생하고 있다. 더본코리아의 올해 상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의 상반기 매출액은 연결기준 1천849억원으로, 이중 가맹사업 매출이 약 1천591억원으로 전체의 86.1% 가량을 차지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곧 공개되는 넷플릭스의 흑백요리사2에 백종원 대표가 출연하는 만큼 어느 정도의 관심은 얻을 수 있다고 본다”며 “국내에서는 논란이 크게 비화됐지만 해외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고, 넷플릭스라는 글로벌 OTT 플랫폼을 등에 업으면 어느 정도 인지도를 확보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소스 사업의 실질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더본코리아는 자체 공장이 아닌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방식으로 제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생산을 맡은 곳은 오뚜기, 팔도, 진한식품 등 협력업체다. 외부 업체 의존도가 높아 수익 구조가 불투명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에 더본코리아 관계자는 “단순히 소스만 수출하는 게 아니라 글로벌 푸드 컨설팅까지 함께 제공하는 게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독일 상트벤델 지역에 위치한 글로버스 마크탈레 푸드코트 매장.(사진=더본코리아)

회사는 최근 독일 대형 유통사 글로버스의 푸드코트에 입점해, 자체 개발한 비빔밥 소스로 현지 메뉴를 출시했다. 이 관계자는 “현지 조리사 교육부터 주방 동선 컨설팅까지 담당했다”며 “단순 수출이 아니라 현지에 맞는 한식 메뉴를 정착시키는 게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업계는 회의적인 시각이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소스 수출은 현지 유통망과 공급처 등의 문제로 진입장벽이 높다”며 “삼양식품처럼 제품 자체가 해외에 알려져 있다면 모를까, 중소 규모 업체가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자체 생산 시설이 없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OEM 구조로는 수익성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삼양이나 농심 같은 기업들은 자체 공장에서 대량 생산하며 유통망까지 갖췄지만, 더본은 아직 브랜드 인지도에 크게 의존하는 구조라 불확실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비용 부담도 문제로 꼽힌다. 한 관계자는 “OEM 생산은 단가 자체가 높고, 해외 진출에는 물류비·관세 외에도 현지 마케팅 비용까지 들어간다”면서 “1천억 원 매출을 올리더라도 순이익이 얼마나 남을지는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