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2026년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프로그램을 선정해 공개했다고 12일 밝혔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이번에 선정된 프로그램은 ‘생생 국가유산’ 135건, ‘향교·서원 국가유산 활용’ 95건, ‘국가유산 야행’ 55건, ‘전통산사 국가유산 활용’ 46건, ‘고택·종갓집 활용’ 48건 총 379건이다.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은 전국에 소재한 문화·자연·무형유산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각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과 결합해 국민의 문화향유 기회를 늘리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기획된 사업이다.

사업은 총 5개의 세부사업으로 구성된다. 2008년 ‘생생 국가유산’ 사업을 시작으로, 2014년 ‘향교·서원 국가유산 활용’, 2016년 ‘국가유산 야행’, 2017년 ‘전통산사 국가유산 활용’, 2020년에는 ‘고택·종갓집 활용’까지 세부사업을 확대해 왔다.
특히 2026년에는 지역 소재 국가유산을 지역발전의 중요자산으로 활용해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경제와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관련 예산도 증액했다. 이를 통해 사업 수와 프로그램 운영횟수를 확대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국가유산청, '2026년 전승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13개 프로그램 선정2025.09.11
- 국가유산청, '세종 한솔동 고분군'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 지정2025.09.11
- 국가유산청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 전주 신축 청사 준공 기념식 개최2025.09.10
- 국가유산청, 맞춤형 국가유산교육 34건 지원...지역 활성화 기여2025.09.10
국가유산청은 지자체 공모를 통해 대상 프로그램을 선정해 예산을 지원하며, 올해는 공모를 통해 접수된 총 593건에 대해 국가유산과의 콘텐츠 연관성·사업운영 역량·예산편성의 적정성 등의 항목에 대한 심사를 거쳐 올해 대비 24건 증가한 379건의 활용사업을 최종 선정했다.
국가유산청은 “전국 곳곳에 소재한 국가유산이 지역의 문화와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핵심 역사문화자원이자 지역발전의 원동력이 되도록 지역 국가유산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등 적극행정을 통해 지역 주민을 포함한 관람객들에게 고품격의 국가유산 향유 기회를 꾸준히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