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병 때문에 멸종위기 처한 코알라, 전용 백신 나왔다

헬스케어입력 :2025/09/11 14:34    수정: 2025/09/11 14:34

야생 코알라에게 치명적인 클라미디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세계 최초의 코알라 백신이 출시 승인을 받았다고 CNN 등 외신들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클라미디아는 호주 동부 해안의 유칼립투스 숲에 서식하는 코알라들에 흔히 발견되는 성병이다. 코알라가 이 병에 감염되면 요로 감염, 불임, 실명, 심지어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 치료를 받더라도 장기 손상을 남길 수 있으며, 새끼 코알라도 어미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 이 질병은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으로, 사람도 치료하지 않으면 불임이 될 수 있다.

세계 최초로 코알라용 클라미디아 백신이 승인됐다. 사진은 검진을 받는 코알라의 모습 (출처=호주 선샤인 코스트 대학)

호주 선샤인 코스트 대학 연구진은 단일 백신 개발을 위해 10년 넘게 연구를 이어왔으며, 이번에 그 결실을 맺게 됐다. 그 동안은 항생제를 투여해 코알라의 클라미디아를 치료했으나, 이는 유칼립투스 잎 소화를 방해해 코알라가 굶어 죽는 경우가 잦았다.

이번에 승인된 세계 최초의 코알라용 클라미디아 백신은 호주 내에서 생산 및 광범위한 사용이 허가됐다. 이미 수백 마리의 야생•사육 코알라를 대상으로 임상 시험이 진행된 상태다.

출처=호주 선샤인 코스트 대학

해당 연구 책임자 샘 필립스 연구원은 “백신 접종 결과 코알라가 번식기에 클라미디아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 크게 줄었으며, 야생 집단에서 이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을 최소 65% 낮추는 효과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백신 개발을 주도한 피터 팀스 교수 (출처=호주 선샤인 코스트 대학)

피터 팀스 선샤인 코스트대학 바이오혁신센터 미생물학 교수는 "일부 개체 집단은 매일 지역적 멸종에 한 발짝씩 다가가고 있다”며, “특히 퀸즐랜드 남동부와 뉴사우스웨일즈에서는 개체군 내  감염률은 종종 50%에 이르고, 경우에 따라 70%까지 올라가기도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코알라는 호주의 대표적인 상징 동물로, 호주에서만 서식한다. 하지만, 퀸즐랜드, 뉴사우스웨일스, 호주 수도 준주에서도 이미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돼 있다. 호주 세계자연기금(WWF) 에 따르면, 코알라는 이 질병 외에도 서식지 파괴와 다른 동물의 공격, 차량 충돌 등에 취약해 2022년 심각한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됐다.

코알라는 최근 몇 년간 호주 여름철을 휩쓴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다. CNN 계열사 뉴스에 따르면, 올해 부디짐 국립공원에서 산불 이후 약 860마리의 코알라가 고통을 줄이기 위해 공중에서 사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