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건강] 산모 맞아야 할 예방접종은?

임신 전·중·출산 후 백신 접종해야 태아 건강도 확보

헬스케어입력 :2025/09/08 13:54

임산부의 예방접종 참여로 산모와 태아, 신생아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전문가 소견이 나왔다.

임신 중에는 면역력이 약해져 감염병에 취약해진다. 만약 풍진·수두·거대세포바이러스(CMV)·헤르페스 등에 감염되면 태아에게 청각 손실‧발달 지연‧기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독감에 걸린 임신부는 고열 및 호흡곤란과 폐렴 같은 합병증 위험이 크고, 태아는 조산이나 신경 발달 이상에 노출된다.

사진=인제백병원

전문가들이 산모에게 반드시 권고하는 백신은 독감,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코로나19 백신 등이다. 독감 백신은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접종할 수 있다. 산모의 합병증을 예방할 뿐 아니라 태아에게 전달된 항체가 생후 6개월 동안 신생아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백일해 백신은 임신 27주~36주나 27주~32주에 맞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시기에 접종하면 태반을 통해 항체가 아기에게 전달돼 백일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코로나19 백신도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접종이 가능하다. 산모의 중증 위험도 낮춘다.

또 B·A형 간염, 폐렴구균, 수막구균 백신은 필요 시 접종 가능하다.

하지만  홍역·볼거리·풍진과 수두 백신 같은 생백신은 임신 중 접종하면 안 된다. 반드시 임신 최소 1개월 전이나 출산 직후에 접종해야 한다. 때문에 가임기 여성은 임신을 계획하기 전 반드시 풍진과 수두에 대한 면역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면역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임신 초기 감염이 발생하면 태아에게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남길 수 있다.

관련기사

한정열 인제대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임신 사실을 모른 채 임신 초기에 풍진이나 수두와 같은 생백신을 접종해도, 선천성풍진증후군 사례가 보고된 바는 있으나 임신중절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라며 “예방접종 후 드물게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지만, 감염병으로 인한 합병증 위험과 비교하면 백신의 이득이 훨씬 크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임신 전 철저한 예방접종과 감염 관리가 태아의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라며 “가임기 여성은 반드시 면역 상태를 확인해 필요한 예방접종을 사전에 완료하고, 임신부는 의료진과 상담해 맞춤형 접종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