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되면 찾아오는 우울‧무력감‧식욕증가 등이 단순 기분 변화가 아닌 ‘계절성 정서장애(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일 수 있다는 전문가 소견이 나왔다.
계절성 정서장애는 계절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는 신경생물학적 질환이다. 핵심 원인은 일조량 감소다. 가을·겨울에 낮이 짧아지면 멜라토닌 분비가 늘어 낮에도 졸음과 무기력감을 일으키고, 동시에 세로토닌 분비가 우울감과 불안감을 악화시킨다.
때문에 다른 우울증과는 달리 잠을 많이 자도 피곤하고, 단 음식을 계속 찾으며, 체중이 늘어나는 비정형적 증상이 두드러진다.

증상이 2주 이상 이어지고, 2년 이상 동일한 계절에 반복된다면 단순 기분 변화가 아닌 계절성 기분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만약 과다수면, 탄수화물 갈망, 집중력 저하와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면 더 주의가 필요하다.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서 모두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가벼운 경우에는 생활 습관 관리만으로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햇볕을 자주 쬐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며,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생활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관련기사
- [1분건강] 소아 크론병, 방치하면 키 성장도 방해2025.04.30
- [1분건강]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폐 질환 위험 높인다2025.04.16
- [1분건강] 직장 내 괴롭힘, 노동자 자살 위험 4배 증가시킨다2025.03.26
- [1분건강] 황사·미세먼지·꽃가루…만성폐쇄성폐질환 ‘빨간불’2025.03.12
하지만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지속된다면 치료가 필요하다. 광 치료(Light Therapy), 항우울제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CBT-SAD) 등이 대표적인 치료법이다.
김준형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계절성 정서장애는 단순히 기분이 가라앉는 계절적 현상이 아니라 치료가 가능한 의학적 질환”이라며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