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및 클라우드 전문기업 오케스트로가 처음으로 개최하는 '솔루션데이(명칭 오케스트로 솔루션데이 2025)'가 오는 9월 2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다. AI 시대, 클라우드 혁신의 방향을 제시할 이번 행사를 앞두고 오케스트로가 '한국 기업 맞춤 실전 클라우드'를 주제로 전문가들의 산업별 클라우드 전략을 다섯차례 연재한다.(편집자주)
미국계 글로벌 소프트웨어(SW) 기업 VM웨어(VMware)의 라이선스 정책 변경으로 국내 시장에도 큰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이번 정책 변화는 비용 상승 문제를 넘는다. 기업의 전략적 위험으로도 연결된다. 한때 신뢰하던 기술 파트너의 갑작스러운 변화는 '벤더 락인'이라는 무기로 작용, 기업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디지털 혁신 환경에 위기를 준다. 대안으로 고려할 만한 다른 글로벌 벤더들 역시 일제히 라이선스 가격을 인상, 기업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필자가 현장에서 만난 기업 고객들 대부분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기존과는 전혀 다른 혁신적인 인프라 전략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글로벌 리서치 분석 역시 같은 방향을 제시한다. 글로벌 전문가들은 ‘플러그인 아키텍처’ 전략을 적극 권고한다. 이는 다중 벤더의 솔루션을 논리적 하나의 솔루션처럼 동작하도록 인프라스트럭처를 설계해 복수의 벤더 간 지속적 경쟁을 유도해 벤더 락인을 방지하며, 항상 최적의 비용과 운영 환경을 확보하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 측면에서 매우 정교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플러그인 아키텍처' 전략의 좋은 예로 최근 오케스트로와 계약한 글로벌기업을 들 수 있다. 이 고객은 처음부터 철저히 필요한 요구 사항에만 집중했는데, 현재 솔루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리스트업해 도입하려는 솔루션에서 이를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철저히 점검했다.
해당 기능이 특정 벤더에 있는 기능일 경우 이를 범용 기능으로 변경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심도있는 고민도 병행해 필수 기능들에 대해서는 특정 벤더와 상관없이 도입되는 모든 솔루션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아키텍처를 설계, '플러그인 아키텍처'의 기반을 마련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고객이 원하는 필수기능들에 대해 처음부터 끝까지 명확히 제해 PoC를 진행한 부분이다. 실제로 많은 PoC가, 필요하지 않아도 있으면 좋을 것 같은 기능들을 추려 PoC 항목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되면 고객은 궁극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플러그인 아키텍'처 전략과 동떨어져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특정 벤더에 락인된다.
해당 고객은 필수 기능에 대해 PoC에서 명확히 검증하였고, 통과한 벤더에 한해 PoC 중 인지한 부족한 부분의 대안을 깊이 있게 논의해 해결 방안을 찾아내고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상세한 소개를 통해 고객과 벤더간 긴밀한 유대감을 형성, 동반 성장의 기틀을 마련했다.
관련기사
- [AI시대, 클라우드 혁신③] 클라우드, 작게 쪼갤수록 커지는 IT 세상2025.08.14
- [AI시대, 클라우드 혁신②] 설계없는 클라우드 전환은 위험2025.08.07
- [데이터 주권] 韓, 데이터 인프라는 '최고'...정책 방향은 '미흡'2025.08.21
- 배경훈 장관 "국가 암호체계, 양자 내성 암호로 전환"2025.08.21
고객 주도의 극한 환경에 대한 PoC를 통해 고객은 인프라 주도권을 회복하는 계기가 됐고 오케스트로는 이 PoC에 성공함으로써 글로벌 기준의 성능과 기능 상에서 절대 밀리지 않은 우수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VM웨어 라이선스 사태로 최근 많은 국내 회사에서 오픈소스에 단순히 포털을 만들어 저가로 납품하는 단기 전략에 치중하는 모습이 종종 보인다. 이는 우리나라 클라우드 기업에 결코 이롭지 않다. 우연히 찾아온 기회를 근시안적 대응으로 망치지 않아야 한다. 시장이 활짝 열린 이번 기회를 통해 기술력을 갖춘 국내 클라우드 기업들이 제대로 된 솔루션으로 승부, 글로벌에 도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대한민국 기술자 중 한사람으로 기대한다.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