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수의 창업심리학] MS 재도약 비결은 '감성 지능'

[2회-감정 통제] 혁신 아이디어·기술력보다 중요..."감정통제 못하는 천재는 재앙"

전문가 칼럼입력 :2025/04/05 10:26

이종수 SNU공학컨설팅센터 산학협력중점교수

"감정을 통제하지 못하는 천재는 재앙이 될 수 있다." 모건 하우절 말이다. 오늘날 스타트업 생태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혁신 아이디어와 뛰어난 기술력은 스타트업 성공을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아무리 천재적인 창업자라도 감정 조절 능력이 부족하면 비즈니스 성패가 크게 흔들릴 수 있다. 특히 급변하는 시장 환경과 높은 불확실성 속에서 감정 통제는 더욱 중요한 경쟁력으로 작용한다.

스타트업은 소수 인재가 운영하는 특성상 개인 역할과 영향력이 막대하다. 특히 창업자나 핵심 멤버의 감정 통제력 부족은 전체 조직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스냅챗의 에반 스피겔과 공동창업자들은 감정적 갈등으로 인한 법적 분쟁에 휘말려 수백억 원 손실을 입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 연구에 따르면 스타트업 65%가 창업자 간 갈등으로 실패하며, 스냅챗은 이러한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감성지능 부족이 혁신적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기업 성장에 치명적 장애물로 작용한 대표적 사례다.

반면,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CEO)는 2014년 마이크로소프트(MS) 취임 후 뛰어난 감성지능으로 이전의 경쟁적이고 대립적이던 기업문화를 혁신했다. 그는 공감과 협업을 강조하는 성장 마인드셋을 도입하여 직원들의 소통을 개선했다. 이러한 감성지능 리더십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시장 가치는 2014년 3000억 달러에서 2021년 2조 달러 이상으로 다시 한번 급증했다.

감성지능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자기 인식, 자기 조절, 동기 부여, 공감, 사회적 기술로 구성된다. 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감성지능은 IQ보다 직업적 성공을 더 정확하게 예측하는 요소이며, 188개 기업 역량 모델 분석 결과, 뛰어난 리더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감성지능이었다. 이러한 발견은 전통적인 비즈니스 관점에서 간과된 감성의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했다.

이종수 교수

 스타트업 환경은 불확실성이 높고 자원과 시간이 제한적이다. 이런 환경에서 리더의 감성지능은 팀원들에게 영감과 동기를 부여하고, 협력적 문화를 조성하며, 스트레스와 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수다. 특히 자기 조절, 동기 부여, 공감 능력은 빠르게 변화하는 스타트업 환경에서 창업자가 지속적으로 도전하고, 팀을 이끌며, 고객과 투자자 니즈를 이해하는 핵심 요소다. 이러한 능력은 창업 초기의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는 회복탄력성(resilience) 토대가 된다.

감성지능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다. 개발 가능한 기술이다. 창업자가 감정 통제력과 감성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기 인식과 평가, 정기적인 피드백 수집, 팀원과의 소통 강화, 마음챙김과 공감 능력 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창업자 개인 성장 뿐 아니라 조직 전체 성공으로 이어진다. 특히 멘토링과 코칭 프로그램 참여는 감성지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에 따르면, 많은 창업자들이 사업 실패 후에도 개인 성장을 경험한다. 이는 실패 경험과 부정 감정 반응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지며, 창업자의 감정 통제 능력과 감성지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정 조절 능력이 높은 창업자들은 실패율이 높아져도 지속적으로 학습 행동을 증가시킨다.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감성지능은 단순한 '소프트 스킬'이 아니다. 비즈니스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다. 기술력과 감성지능간 균형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감정을 통제하지 못하는 천재적인 창업자는 아무리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있어도 팀원 이탈, 갈등, 투자자 관계 악화 등으로 재정적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 반면, 감성지능이 높은 창업자는 팀원의 감정을 이해하고 갈등을 건설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다. 오늘날의 복잡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감정 통제와 감성지능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 이종수 교수는...

<학력>

-서울대 산업공학 학사

-서울대 인간공학 석사

-서울대 인간공학 박사 수료

<경력>

-전/SK이노베이션 기술개발기획 팀장

-전/벤처기업 창업 및 M&A

관련기사

-전/벤처캐피털 투자본부장(부사장)

-현/서울대학교 SNU공학컨설팅센터 산학협력중점교수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