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디카페인' 커피가 소비자로부터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디카페인 커피가 일반 커피에 비해 비싼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디카페인이란 카페인을 제거한 것을 말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카페인 함량을 90% 이상 제거한 경우 디카페인이라고 칭할 수 있다. 커피의 불면과 심장 박동 증가 등 부작용을 피하려 대용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소비량이 크게 늘고 있다.

대부분의 커피 프랜차이즈에서는 음료 주문 시 디카페인 원두를 선택할 수 있지만, 프랜차이즈마다 추가 금액이 붙게 된다. 스타벅스의 경우 디카페인 음료 주문 시 일반 음료보다 300원 더 비싸며, 투썸플레이스 역시 300원의 추가 비용이 붙는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공정이 추가로 붙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디카페인 커피를 만들기 위해서는 생두 상태에서 카페인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며, 이 과정에서 화학적 처리 또는 물리적 처리 방식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스타벅스는 CO2(이산화탄소)와 스팀을 사용해 원두 속의 카페인을 제거한다.
관련기사
- 美 스타벅스, 매출 부진 완화로 회복세 기대2025.01.29
- 커피 프랜차이즈, 설 연휴 겨냥 상품·행사 눈길2025.01.27
- 스타벅스, 24일부터 가격 인상…아메리카노 톨사이즈 '4700원'2025.01.20
- 美 스타벅스, 해킹으로 마비된 스케줄링 시스템 복구2024.12.12
이 관계자는 “원두에서 카페인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일반 커피에 비해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며 “공정 때문에 가격이 비싸지는 만큼, 불가피하게 추가 비용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카페인 커피의 소비량은 지속해서 늘고 있는 추세다.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디카페인 커피 생산량은 지난 2019년 1천637톤에서 2023년 1만2천358톤으로 7.5배 가량 늘었고, 같은 기간 전체 생산량에서 디카페인 비중은 0.2%에서 1.3%로 6.5배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