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장’을 방치하면 장기 괴사로 인한 여러 질환 발생 가능성이 커질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탈장이란, 신체 내 장기가 제 자리에 있지 못하고, 복벽의 약해진 틈을 통해 빠져나오는 증상이다. 탈출된 장기는 자연히 제자리로 복원되기도 하지만, 방치하면 장기가 괴사하거나 장폐색 증상이 생기는 등 위급한 상황에 이를 수 있다.
탈장은 신체 어느 곳에서나 생길 수 있다. 가장 흔한 것은 사타구니 부위에 생기는 서혜부 탈장이다. 대퇴 부위에 생기는 대퇴 탈장과 배꼽 부위에 생기는 제대 탈장 등도 있다. 주로 10대 미만 어린이나 50대 이상에서 많이 나타난다.

탈장의 원인은 소아와 성인으로 구분된다. 소아는 대부분 선천적 장기 이상으로 발생하며, 성인은 복벽을 구성하고 있는 근육이나 근막이 약해지면서 생긴다. 복압이 높아지면 더 위험하다. ▲복부 수술력 ▲복부비만 ▲과도한 운동 ▲임신 ▲복수 ▲만성폐쇄성폐질환 ▲전립선 비대 등은 복막의 압력이 올라가 탈장이 발생할 수 있다.
탈장은 초기에는 증상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탈출 장기가 쉽게 제자리를 찾아 돌아가기도 한다. 그렇지만 병이 진행될수록 탈출 장기의 압력이 높아지고, 덩어리가 커지고 통증도 서서히 시작된다.
탈장을 방치하면 응급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탈장이 심해지면 탈출된 장기가 장에 끼어 복강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감돈’ 상태가 발생하게 된다.
관련기사
- [1분건강] 습도, 폐에 도움되거나 해될수도2025.02.13
- [1분건강] 어르신 건강 위협 파킨슨병이란2025.02.11
- [1분건강] 칼바람에 한랭질환 조심하자2025.02.07
- [1분건강] 폐경 진행될수록 야간뇨 증상 심해져2025.02.06
이때 해당 부위에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장기가 썩을 수 있다. 이를 ‘교액 괴사’라 한다. 교액 괴사는 매우 위급한 상황으로 장천공, 장폐색, 패혈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최성일 강동경희대병원 교수는 “탈장 환자는 수술 전이나, 수술 이후 1개월 정도는 복부에 압력이 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라며 “과도한 운동이나 등산 골프 등 복벽에 힘이 들어가는 행동은 피하는 게 좋으며, 탈장이 복구되지 않는 상황에는 바로 병원으로 내원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