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영하권 강추위가 지속되면서 저체온증과 동상 등 한랭질환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작년 12월부터 이달 2일까지 발생한 한랭질환자는 총 233명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층이 절반 이상인 134명으로 가장 많았다. 오전 6시에서 9시 사이에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한랭질환은 추위가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체온이 35도 이하로 떨어지는 저체온증과 피부나 조직이 얼어붙는 동상 등이 대표적이다. 저체온증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떨림·언어 장애·의식 혼미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할 경우 심장과 호흡기의 기능이 저하되고 혈압이 떨어지며 쇼크 탓에 사망에 이를 수 있다.
![](https://image.zdnet.co.kr/2025/02/07/dd275f6f0138fd5fdfe339544599cf76.jpg)
동상은 추운 환경에 의해 피부와 그 아래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손·발·귀·코 등 신체 말단 부위에서 잘 발생한다. 동상의 초기 증상으로는 피부가 붉어졌다가 창백해지고 통증·얼얼함·화끈거리는 작열감을 느낄 수 있으며 물집도 생긴다.
손상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수 시간 내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계속 차가운 환경에 노출되면 피부나 말단 조직이 검은색으로 변하면서 괴사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한랭질환을 예방하려면 외출 시 내복 등 여러 겹의 옷을 입고·장갑·목도리·마스크 등의 방한용품을 착용해 적절 체온을 유지해야 한다. 손·발·귀 등 말초 부위를 따뜻하게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다. 옷·양말·신발 등이 젖었다면 가능한 한 빨리 건조한 것으로 갈아입어야 한다.
심뇌혈관질환이나 고혈압 등의 기저질환이 있거나 65세 이상 어르신과 영유아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술을 많이 마시면 추위로 체온이 급격히 떨어져도 인지하지 못하게 되어 위험할 수 있어서 한파 시에는 과음을 피해야 한다.
관련기사
- [1분건강] 폐경 진행될수록 야간뇨 증상 심해져2025.02.06
- [1분건강]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는 희귀질환 ‘모야모야병’2025.02.05
- [1분건강] 늘어나는 어르신 고관절 골절환자2025.02.02
- [1분건강] 설 연휴 끝…급성 호흡기 감염병 걸렸는지 확인하자2025.02.02
박종학 고려대안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저체온증이나 동상이 의심된다면 환자를 따뜻한 환경으로 이동시키고 담요나 의류로 감싸 체온을 높여야 한다”라며 “동상이 의심되는 부위는 38도~40도 정도의 물에 담글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뜨거운 물에는 담그지 말아야 한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즉시 119에 신고하고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