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중 적절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폐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윤희영 순천향대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팀은 2016년~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40세 이상 성인 1만396명의 폐기능검사 자료와 건강 설문지를 통해 호흡기 증상을 평가했다. 상대 습도·기온·미세먼지 등의 환경 정보를 참가자의 거주지와 연계해 분석했다.
그 결과, 1년 이상 높은 습도에 노출되면 노력성 폐활량, 즉 숨을 최대한 깊게 들이마셨다가 힘껏 내쉬게 해서 공기량을 측정했을 때의 수치가 높게 나왔다. 반면, 14일 미만 높은 습도에 노출되면 폐 기능의 1초 강제호기량과 노력성 폐활량 비율이 감소했다.

이는 높은 습도 환경은 장기적으로 폐 조직을 보호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폐 기능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90일~180일 기간에 높은 습도 환경에 노출됐을 때 만성 기침과 가래 증상이 줄어드는 것으로 관찰됐다. 적절 습도 유지가 기관지 점막을 보호하고,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관련기사
- [1분건강] 어르신 건강 위협 파킨슨병이란2025.02.11
- [1분건강] 칼바람에 한랭질환 조심하자2025.02.07
- [1분건강] 폐경 진행될수록 야간뇨 증상 심해져2025.02.06
- [1분건강]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는 희귀질환 ‘모야모야병’2025.02.05
윤희영 교수는 “겨울에는 가습기를 활용해 습도를 유지하고, 여름철에는 제습기를 사용하거나 환기를 자주 하는 것을 권장한다”라고 조언했다.
한편, 연구 결과는 Respir Res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