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이 한국인의 비만 기준을 기존 체질량지수(BMI) 25kg/㎡에서 27kg/㎡ 이상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 발표 이후 후폭풍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대한비만학회 등 관련 전문가단체는 성명까지 발표하며 정부가 건강증진 목표에 역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문제가 된 발표는 지난 8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나왔다. 당시 건보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의 기준을 따르고 있는 우리나라 비만 기준인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을 국내 상황에 맞게 최소 체질량지수(BMI) 27 이상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체질량지수(BMI)란, 체중(kg)을 신장(m2)으로 나눈 값이다.
건강보험연구원의 연구는 2002년~2003년 일반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최대 847만 명을 21년간 관찰해 BMI 별 사망과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 정도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원은 BMI와 심뇌혈관질환 발생 간의 연관성 분석에서 BMI가 높아질수록 질병 발생 위험이 증가해 체질량지수 BMI 25 구간을 비만 기준으로 특정할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고 봤다.
이선미 건강보험연구원 건강관리연구센터장은 “우리나라 성인의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위험을 동시에 고려할 때 현행 비만 기준을 최소 BMI 27 이상으로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라며 “중국은 이미 BMI 28 이상을 비만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대한비만학회는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동반 위험을 선별하려면 비만 진단 기준을 현재의 BMI 25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선 비만 진단기준을 설정할 때 사망률이 아니라 비만 동반질환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회는 BMI가 증가하면 비만 동반질환의 발생률은 증가하지만, 사망률은 연령·건강 상태·흡연·사망 원인 등 집단 특성과 추적 기간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 학회에 따르면, 2형당뇨병·고혈압·이상지질혈증·심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의 발생 위험은 BMI가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정상체중에 비해 비만전단계부터 발생 위험이 증가했다.
특히 2형당뇨병은 정상체중에 비해 비만전단계에서 1.55배, 1단계 미만에서는 2.4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양과 중국의 비만 진단 기준인 BMI 30과 28 이상은 2형당뇨병 발생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기준으로 정립됐다는 게 학회의 설명이다.
또 학회는 20대~50대 젊은 연령층에서 비만 유병률이 급증하고 있는 점을 들어 “비만 진단 목적은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있다”라며 “이와 같은 우려를 반영하여 비만 진단기준을 설정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관련해 최근 유럽비만학회는 BMI 25 이상에서도 허리둘레-신장 비율이 0.5를 초과하거나 동반질환이 있을 시 비만으로 진단하도록 가이드라인을 변경한 바 있다.
관련기사
- 비만, ‘병’으로 불러야 하는 이유2024.08.27
- [1분건강] 소아·청소년 5명 중 1명은 비만, 방치하면 큰일납니다2024.08.13
- 국내 삼십대 남성 2명 중 1명은 비만이다2024.08.07
- 당신은 과체중입니까, 비만입니까2024.02.07
학회는 “비만 관련 합병증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BMI와 함께 허리둘레를 측정하도록 권고해 왔다”라며 “BMI는 비만을 진단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편리한 도구이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아닌 만큼 BMI 기준을 사망률과의 연관성만을 근거로 설정하는 경우 많은 사람이 자신의 비만 관련 질환 위험을 과소평가할 우려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연구원의 제안이 전문가단체인 대한비만학회 및 유관단체와 논의되지 않고 언론에 보도자류를 배부, 비만 진단기준에 혼동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